논문 상세보기

전문조사원 경험에 의한 야생동물 서식지 예측모형 - 대천천.청라댐 유역을 대상으로 - KCI 등재

Wildlife Habitat Prediction Model based on Specialist's Experience - A Case Study of Daecheoncheon.Cheongradam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40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2011년에 수행된 충청남도 보령시 도시생태현황지도(biotopemap)에서 도출된 정보를 활용하여 야생동물 조사지점을 선정하는 단계에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에 활용된 정보는 야생동물 전문가의 지식과 경험으로부터 도출되었으며 6가지 환경변수(Outside distance from food vegetation, Outside distance from farm land, Outside distance from forest, Human density, Outside distance from road, Outside distance from water)로 구현되었다. 6개의 환경변수는 도면중첩방법으로 모형화 되었으며 모형은 출현정보와 비교한 결과 94.72%의 상관관계를 도출할 수 있었다. 출현이 많을 것으로 예측된 지역은 농촌지역 산림 계곡부 였으며 조사범위의 한계(면적, 일정, 예산)속에서 양질의 야생동물 조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산림내부가 제외되어있는 점, 모든종이 같은 서식지를 선호하지 않는 다는 점 등의 한계점을 갖고 있었으며 추후 이 부문에 대한 후속연구들이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se the information deduced from biotopemap in Boryeong, Chungnam province conducted in 2011 and to select the wildlife survey point. The information used for the study was deduced from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of wildlife specialists and was realized by 6 environmental variables (Outside distance from food vegetation, Outside distance from farm land, Outside distance from forest, Human density, Outside distance from road, Outside distance from water). 6 environmental variables were modeled by map overlay method and the model could deduce the correlation of 94.72% as a result of comparing with occurrence information. The areas predicted to have many occurrences were rural landscapes, forests, and valleys, and they can be used to deduce the quality wildlife survey results in the limit of survey range (area, schedule, and budget). However, it had the limit points such as the inside of forests was excluded, all species did not prefer the same habitat. The following studies are needed for this part in the future.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표본추출 방법   2. 야생동물 조사지점 선정 모형 구축방법  결과 및 고찰   1. 모형을 위한 자료수집(Sampling)   2. 모형적용(Modeling)   3. 모형검증(Verification)   4. 서식지 예측모형의 활용가능성  결론  REFERENCES
저자
  • 장래익(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Jang, Raeik
  • 이명우(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조경학과) | 이명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