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산 국립공원 비로봉 (해발고도 1,563 m) 일대 삼림식생은 산지삼림식생과 평지삼림식생으로 대별되어있다. 산지삼림식생은 산지낙엽활엽수림, 산지습성림, 산지침엽수림, 아고산침엽수림, 아고산활엽수림, 식재림 등으로 세분되었으며, 평지삼림식생은 하반림, 기타식생으로 조사되었다. 상관대분류에 의하여 구분된 산지삼림식생의 분포군락수는 산지낙엽활엽수림 62개 군락, 산지습성림 84개 군락, 산지침엽수림 15개 군락, 아고산침엽수림 16개 군락, 아고산활엽수림 3개 군락, 식재림 16개 군락, 하반림 1개 군락, 기타식생 4개 군락의 총 201개 군락이 조사되었다. 조사된 주요 군락의 분포 비율을 보면 산지낙엽활엽수림은 신갈나무군락이 50,113,014.41 m2의 35.80%로 가장 높은 분포 비율로 조사되었고, 굴참나무군락이 1,117,071.15 m2의 0.80%, 피나무군락 679,193.63 m2, 0.49%로 3개 군락이 전체의 37.08%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산지습성림은 가래나무군락, 들메나무군락, 물황철나무군락이 전체의 0.99%, 0.27%, 0.12%로 비로봉 일대의 산지습성림은 가래나무군락, 들메나무군락, 물황철나무군락이 전체의 1.38%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지침엽수림은 소나무군락이 전체의 6.65%로서 대부분의 산지침염수림은 소나무 1종이 상층부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나는 군락의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아고산침엽수림은 전나무군락이 1.33%, 아고산활엽수림은 사스래나무군락이 0.08%, 식재림은 일본잎갈나무식재림은 전체의 1.33%로 가장 많이 식재되었으며, 잣나무 0.30%, 전나무가 0.29%로 3개 수종이 전체의 1.92%로 대부분이 이들 3종에 의하여 식재되어졌다. 결론적으로 오대산 국립공원 비로봉 일대 삼림식생은 신갈나무, 굴참나무, 피나무, 가래나무, 들메나무, 물황철나무, 소나무 등 소수의 수종이 최상층부의 우점종으로 분포하고있으며 2종에 의하여 형성된 수많은 군락들은 식생천이 및 기후적 요인에 의하여 이 지역 일대의 극상수종인 신갈나무, 들메나무 등으로 군락 대체가 예상된다. 그러나 아고산침엽수림은 기후온난화와 인위적 교란에 의하여 점차적으로 낙엽활엽수의 분포비율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Forest vegetation of Birobong (1,563 m) in Odaesan National Park is classified into mountain forest vegetation and flatland forest vegetation. Mountain forest vegetation is subdivided into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valley forest, coniferous forest, subalpine coniferous forest, subalpine broad-leaved forest, afforestation and etc., while riparian forest was found under the category of flatland forest vegetation. Including 196 communities of mountain forest vegetation, 1 community of flatland forest vegetation and 4 communities of other vegetation, the total of 201 communities were researched; the distributed colonies classified by physiognomy classification are 62 communities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84 communities of valley forest, 15 communities of coniferous forests, 16 communities of subalpine coniferous forest, 3 communities of subalpine broad-leaved forest, 16 afforestation, 1 community of flatland forest and 4 other communities. As for the distribution rate for surveyed main communities, Quercus mongolica, Quercus variabilis, Tilia amurensis communities account for 37.08 percent of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Juglans mandshurica, Fraxinus mandshurica, Cornus controversa, Populus koreana community takes up 1.59 percent of mountain valley forest, Pinus densiflora community holds 6.65 percent of mountain coniferous forest holds. In conclusion, minority species consisting of Quercus mongolica, Quercus variabilis, Tilia amurensis, Juglans mandshurica, Fraxinus mandshurica, Cornus controversa, Populus koreana, Pinus densiflora are distributed as dominant species of the uppermost part in a forest vegetation of Birobong in Odaesan National Park. In addition, because of vegetation succession and climate factors, numerous colonies formed by the two species are expected to be replaced by Quercus mongolica, Tilia amurensis and Juglans mandshurica which are climax species in the area. However, the distribution rate of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seems to increase gradually due to global warming and artificial disturb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