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이중편파 레이더강우와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유출해석 KCI 등재

Runoff Analysis Using Dual Polarization RADAR and Distributed Mode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51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합천댐, 회천 유역에 대하여 비슬산 이중편파 레이더를 이용하여 유역평균강우량을 각각 추정하여 지상 우량계의 강우량과 비교한 후 분포형 유출모형인 Vflo 모형을 사용하여 유출을 모의하였다. 유역평균 강우량 분석 결과 이중편파 레이더 변수를 사용한 결과 첨두우량 및 전체 강우량 값이 지상우량계 값과 근접하게 산정되었고, Vflo 분포형 모형을 사용한 유출모의 분석 결과 또한 이중편파 레이더 변수를 사용한 유출모의가 실제 유출량에 근접하였다. 이는 이중편파 레이더를 사용한 강우추정 및 유출모의가 기존의 수평반사도만을 사용한 단일편파 레이더보다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In this study, average rainfall of basin was estimated and compared with that obtained from Biseulsan dual polarization RADAR. And the runoffs are estimated using Vflo distribution model for Habcheon reservoir basin and Huicheon basin. In the rainfall estimation using dual polarization RADAR, the rainfall was estimated by using the specific phase difference and differential reflectivity of dual polarization RADAR variables. As a result, for all events rainfall estimation using dual polarization RADAR has the closest value to the gauge rainfall in terms of the peak rainfall and total rainfall. Also, runoff simulation results from dual polarization RADAR show the better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method using dual polarization radar can improve the accuracy more than a single polarization radar using only horizontal reflectivity.

목차
 Abstract  요 지  1. 서 론  2. 기본 이론   2.1 단일편파 레이더 강우 추정이론   2.2 이중편파 레이더 강우 추정이론   2.3 유출모형의 기본이론  3. 대상유역 선정 및 호우사상 선정   3.1 대상유역의 개황   3.2 호우사상 선정  4. 레이더 강우 추정 및 지상강우와 비교   4.1 레이더자료 변환   4.2 레이더 강우와 지상강우의 비교   4.3 레이더 강우의 통계적 평가  5. 강우-유출모의 결과   5.1 시험유역별 유출모의 결과   5.2 결과종합  6.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이재응(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 공학박사) | 이재응
  • 유명수( 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과 박사수료) | 유명수
  • 정지영(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과 연구원) | Jeong, Ji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