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사지 밭 토양유실량 저감을 위한 실트펜스와 식생밭두렁의 현장포장 실험 KCI 등재

A Plot Scale Soil Erosion Control Experiment for Silt Fence and Vegetated Ridge Applied Sloped Uplan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59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경사지 밭에서의 토양유실량 저감을 위해 실트펜스와 식생밭두렁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현장실험 연구로, 이를 위해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에 시험포장을 설치하고 포장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포장은 표준시험포 크기 (5 m × 22 m), 경사 9%의 시험구 3개소와 정방형 크기(15 m × 15 m), 경사 6%의 시험구 2개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포장에서의 강우량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우량계를 설치하였고, 각 시험구의 말단에는 유출량을 측정하기 위한 플륨 및 수위계를 설치하여 모니터링 하였다. 강우시 유출수에 의해 토양이 유실되며 토양 입자에 흡착되어 있는 오염물질도 같이 유출되는데 이러한 유출수의 오염 부하량을 산정하여 토양유실량을 평가하였다. 시간변화에 따라 오염 부하량 저감효과를 분석한 결과 대조구 시험포를 기준으로 실트펜스에서 SS 50.1%가 저감되었고 SS 항목이 저감되었다는 것은 유사가 저감되어 토양유실을 저감시킨 것을 나타낸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경사지밭 토양유실량 저감효과를 평가하고 제어대책을 개발하게 되면 밭에서의 토양유실을 최소화시켜 수질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soil erosion control by the silt fence and vegetated ridge through field monitoring. The experiment plots were established with two sizes which are 5m width by 22m length with 9% slope and 15m width by 15m length with 6% slope. Flumes with the floating type stage gages were installed at the outlet of each plot to monitor the runoff. For a rainfall monitoring, tipping bucket rain gage was installed within the experiment site. Water quality samples were monitored during the heavy rainfall occurred. Cultivated crop was soy bean. The monitoring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EMC reduced by silt fence compared to control were SS 70.7%, NO3 --N 62.3%, T-N 61.4%, and Turbidity 31.6%; by vegetated ridge compared to control were SS 20.1%, Turbidity 39.6%, NH4 +-N 30.3%. Silt fence and vegetated ridge were effective to reduce the soil erosion from the field runoff. Long-term monitoring is required to obtain more quantitative reduction effect for diverse crops an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results.

목차
초록
 ABSTRACT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2.1 시험포장 조성
  2.2 시험포장 내 계측기기
  2.3 유출수 EMC분석 및 오염 부하량 산정
 Ⅲ. 결과 및 고찰
  3.1 강우 유출수 조사
  3.2 수질 농도 결과
  3.3 오염 부하량 산정
 Ⅳ. 요약 및 결론
 Ⅴ. 감사의 글
 » Literature cited
저자
  • 김동현(경상대학교 대학원 농공학과) | Dong Hyeon Kim
  • 장정렬(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Jeong Ryeol Jang
  • 김상민(경상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Sang Min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