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배추 Salt Overly Sensitive 3 (BrSOS3) 유전자의 분리 및 염 저항성 검 KCI 등재

Isolation and Salt Tolerance Analysis of Brassica rapa Salt Overly Sensitive 3 (BrSOS3) Gen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6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내혼계 배추에서 BrSOS1 (3,432개 뉴클레오티드), BrSOS2 (1,341개 뉴클레오티드), BrSOS3 (666개뉴클레오티드) 유전자들을 동정하였으며, 담배를 대상으로 BrSOS3 완전장이 전이되는 pSO3 계통과 RNA interference(RNAi) 기법으로 담배 SOS3(NtSOS3)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pSI3 계통을 생산하였다. 두 계통을 200mM NaCl에서 5일동안 염 스트레스 처리를 한 결과, pSO3 계통은 NtSOS3의 발현이 비형질전환체 대비 2.5배 이상 증가하였고, pSI3 계통에서는 4배까지 감소하였다. 표현형 분석에서도 pSO3 계통은 정상적인 생육을 보임으로써 염 스트레스에 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pSI3 계통은 그렇지 못하였다. 위 결과들을 근거로 BrSOS3 유전자의 발현은 작물의 염 저항성 향상에 매우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다.

To analyze the physiological role of the Salt Overly Sensitive (SOS) genes, BrSOS1 (3,432 nt), BrSOS2 (1,341 nt), and BrSOS3 (666 nt) were identified, and then transgenic tobaccos were generated the pSO3 line containing BrSOS3 full length cDNA and the pSI3 line down-regulated Nicotiana tabacum SOS3 (NtSOS3) by RNA interference (RNAi) technique, respectively. When both transgenic lines were treated 200 mM NaCl for 5 days, NtSOS3 expression level in pSO3 line was increased over 2.5-fold than wild type control and decreased up to 4-fold in pSI3 line. For phenotype analysis, the pSO3 line was found to resist against salinity stress by showing normal growths. However, the pSI3 line lost salt tolerance. Based on these results, we supposed that BrSOS3 might be closely related to the enhancement of salt tolerance.

목차
초록
 ABSTRACT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2.1 배추에서 SOS1, SOS2, SOS3의 동정
  2.2 형질전환용 vector 제작
  2.3 Agrobacterium을 이용한 담배 형질전환
  2.4 PCR 및 Southern hybridization 분석
  2.5 RNA 추출 및 quantitative real-time RT PCR 분석
  2.6 형질전환체의 염 저항성 분석
 Ⅲ. 결과 및 고찰
  3.1 배추에서 SOS1, SOS2, SOS3 유전자 동정 및 관련 유전자 분석
  3.2 BrSOS3 유전자 기능 분석
 IV. 감사의 글
 » Literature cited
저자
  • 유재경(경희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원예생명공학과) | Jae-Gyeong Yu
  • 이정우(경희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원예생명공학과) | Jung-Woo Lee
  • 박영두(경희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원예생명공학과) | Young-Doo Par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