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친수성 처리된 다공성 지지체를 이용한 폴리아마이드 박막 역삼투 복합막 제조 및 특성 분석 KCI 등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amide Thin Film Composite Reverse Osmosis Membranes Using Hydrophilic Treated Microporous Suppor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74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19,2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기존의 폴리아마이드 박막 역삼투 복합막(PA TFC RO Membrane)은 우수한 분리투과특성을 지니고 있으나 내염소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단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표면에 -OH나 -COOH 기가 도입된 다공성 지지체를 제조하고, 그 표면에 폴리아마이드 박막을 형성하여 역삼투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역삼투막의 구조 및 분리투과 특성은 여러 가지 기기분석 방법과 투과테스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폴리아마이드 박막을 제조하기 위하여 아민계 단량체로는 메타-페닐렌 디아민(MPD)과 2,6-디아민 톨루엔(2,6-DAT)을 사용하였고, 디엑시드계 단량체로는 트리-메소일 클로라이드(TMC)를 사용하였다. 제조된 복합막의 투과도는 800 psi에서 약 1.0 m3/m2day 이상이었으며 이때 염배제율은 99.0% 이상이었다. 내염소성도 친수성기가 없는 폴리설폰 지지체를 사용한 복합막에 비하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It is very well known that the conventional polyamide (PA) thin film composite (TFC) reverse osmosis (RO) membranes have excellent permselective properties, but their chlorine tolerance is not good enough. In this study, to im-prove such chlorine tolerance, microporous membranes containing hydrophilic functional groups such as -COOH were used as a support to prepare PA TFC RO membranes, employing the conventional interfacial polymerization method. Meta-phe-nylene diamine (MPD) and 2,6-diamine toluene (2,6-DAT) were used as diamine monomers and tri-mesoyl chloride (TMC) as an acid monomer. The membranes prepared were characterized using various instrumental analytical methods and per-meation test set-up. The flux obtained from the membranes prepared so was more than 1.0 m3/m2day at 800 psi of operating pressure, while the salt rejection was over 99.0%. The chlorine tolerance of them was also found to be better than that of the membrane prepared by using conventional polysulfone support without hydrophilic functional group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실 험
  2.1. 시약
  2.2. 지지체 제조
  2.3. 복합막 제조
  2.4. 복합막 특성 분석
  2.5. 투과도 및 내염소성 측정
 3. 결과 및 고찰
  3.1. 다공성 지지체 제조
  3.2. 다공성 지지체 분석
  3.3. PA TFC RO 복합막 제조
  3.4. PA TFC RO 복합막 분석
  3.5. PA TFC RO 복합막 분리투과 특성
  3.6. PA TFC RO 복합막 내염소성
 4. 결 론
 Reference
저자
  • 손승희(한국화학연구원 융합연구본부 바이오화학연구센터) | Seung Hee Son
  • 제갈종건(한국화학연구원 융합연구본부 바이오화학연구센터) | Jonggeon Jegal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