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iot and Bradley in Special Reference to “Marina”
본 논문은 엘리엇의 ��에어리얼 시집중의 한 편인 「머리나」(1930)를 브래들리의 일원론적 인식론의 관점에서 고찰한다. 문학이든 종교든 철학이든 엘리엇의 궁극은 현상의 세계에서의 분열이나 모순을 넘어선 초월적이며 통합적인 세계이다. 엘리엇은 근대의 문명적 정신적 황폐가 데카르트 이래로 서구 정신을 지배해 온 이원론적 인식론에 있다고 진단하고 이의 극복을 시도해왔다. 브래들리의 철학은 물질과 정신, 감성과 이성 그리고 주체와 객체를 하나의 통일체로 보았다는 점에서 일원론적이다. 이 작품의 제사인 세네카의 ��헤라클레스의 광기��와 셰익스피어의 후기극 『페리클레스』의 주제에 근거한 「머리나」의 주제는 극적 인식이다. 엘리엇의 궁극은 일상의 삶에서는 미처 알지 못했던 현상 너머의 세계의 발견을 통한 초월적 경험에 있다. 본 논문은 극적 인식을 통한 초월적 경험을 브래들리의 인식론의 단계에 적용시켜 분석함으로써 이 작품 해석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엘리엇 예술의 본질을 드러내고자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Marina” in terms of Bradley’s epistemological monism. Eliot seeks for the transcendental unity beyond the division or contradiction of the phenomenal world. He tried to overcome the epistemological dualism prevailing in the modern western mind since René Descartes, which he diagnosed as the cause of the cultural and spiritual depravity. F. H. Bradley’s philosophy is considered monistic in that it regards the world as a unity in which matter and mind, feeling and reason, and subject and object cannot be divided into two. The theme of “Marina,” which is based on Seneca’s Hercules Furens and Shakespeare’s Pericles is the dramatic recognition through which we see reality, that is the world beyond the ordinary and active life as expounded by Bradley’s monistic epistemology. This paper offers a new perspective to “Marina” by applying Bradley’s epistemological stages to the themes of “Mar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