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리나라 조직에서 구성원 정치역량이 과업성과 및 맥락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그리고 구성원의 정치역량과 성과 간 관계에서 상사 정치역량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지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10개 기업,73팀(상사 73명,구성원 3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분석 및 가설검증 방법으로 단계별 회귀분석을 주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구성원의 정치역량은 과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전문능력을 통제하고서도 구성원 정치역량은 과업성과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쳤다. 둘째,구성원의 정치역량은 맥락성과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구성원의 정치역량은 과업성과에도 영향을 미치지만,맥락성과에 더 큰 영향변수임이 증명되었다. 셋째,구성원 정치역량과 성과 간 관계에서 상사 정치역량의 조절효과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구성원의 정치역량이 낮은 경우,구성원 정치역량과 과업성과 간 관계에서 상사 정치역량의 조절효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어느 정도 존재했다.여기에 대해서는 추후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several researches have revealed that political skill is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outcomes such as job performance, manager's leadership, and subordinat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impact of subordinates' political skill on performance which is divided into task and contextual aspect in Korean organization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leader's political skil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political skill and performance. For an empirical analysis, total 73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supervisors and 337 questionnaires to the employees in 10 companies in Korea. SPSS 21.0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ubordinates' political skill affects a positive influence on both task and contextual performance. And subordinates' political skill has an more effect on contextual performance than task one. Those results are congruence with the researches such as Jawahar, et al.’s(2008) or Bing’s(2011). Secondly, the moderating effect of leader's political skil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political skill and performance is not demonstrated. But this research finds out the possibility of moderating effect of leader's political skill in the sub-group with low political skill among subordin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