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제합작 파트너 기업 간 지식공유와 관계몰입이 역지식이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지식창출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KCI 등재

The Effects of Knowledge Sharing and Relational Commitment between Partner Firms on Reverse Knowledge Transfer Capability of IJV: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Creation Capabi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123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국제경영연구 (International Business Journal)
한국국제경영학회 (Korean Academy of International Business)
초록

본 연구는 외국기업과 한국기업 간에 형성된 합작투자기업을 대상으로, 합작 파트너 간 지식공유와 관계몰입이 합작투자기업의 역지식이전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합작투자기업의 지식창출역량을 독립변수(파트너 기업 간 지식공유와 관계몰입)와 종속변수(합작투자기업의 역지식이전역량)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매개요인으로 상정하고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 내 형성된 98개의 합작투자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합작투자 파트너 간 지식공유와 관계몰입은 합작투자기업의 지식창출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합작투자기업의 지식창출역량은 지식공유수준과 역지식이전역량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관계몰입수준과 역지식이전역량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합작투자 파트너 기업 간 지식공유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관계몰입수준이 높을수록 합작투자기업의 지식창출역량이 증대되며, 이러한 역량을 통해서 새롭게 창출된 지식의 역지식이전역량도 증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국제합작투자기업의 지식창출역량을 높인다면 합작투자기업이 창출한 지식의 본사적용 역시 촉진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paper analyses the effects of knowledge sharing and relational commitment between international joint venture(IJV) partners on reverse knowledge transfer capability. And more specifically, we consider knowledge creation capability as a mediator which arbitr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knowledge sharing and relational commitment) and dependent variable(reverse knowledge transfer capability). Based on the 98 survey from IJV in Korea,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nowledge sharing and relational commitment between partners positively effect on the knowledge creation capability. Secondly, there is a full-mediation effect of knowledge creation cap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knowledge sharing and relational commitment) and reverse knowledge transfer capability. In conclusion, the higher the level of knowledge sharing and relational commitment between the IJV partners, the more the knowledge creation capability will increase. And it is found out that the reverse knowledge transfer capability will grow more through the knowledge creation capabi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by testing and proving a new knowledge in the field, it motivates a headquarter to apply the knowledge into herself.

목차
Ⅰ. 서 론
 Ⅱ. 관련문헌 검토 및 가설설정
  2.1 지식공유와 지식창출
  2.2 관계몰입과 지식창출역량
  2.3 지식창출역량과 역지식이전역량
 Ⅲ. 연구방법
  3.1 연구표본과 자료의 수집
  3.2 변수의 측정
 Ⅳ. 연구결과 분석
 Ⅴ. 토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송윤아(조선대학교 무역학과 조교수) | Yun-Ah Song 제1저자
  • 이재은(순천대학교 무역학과 조교수) | Jae-Eun Lee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