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텐서그러티 모듈의 변형 및 응용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Reformability and Application of Tensegrity Modul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13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공간구조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AND SPATIAL STRUCTURES)
한국공간구조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초록

텐서그러티는 연속인장-불연속압축 구성요소에 기반한 상대적으로 새로운 구조시스템이다. 좀 더 상세한 구조적 고찰이 필요하지만, 연구목적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텐서그러티의 구조원리와 근본적인 역학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일단 이점을 확인하고 난 후에, 이러한 구조물의 특성뿐만 아니라 건축에서의 적용성을 다룬다. 그리고 이런 시스템을 규정하는 정의에 이견이 없지는 않으나, 경량구조물로써 텐서그러티의 가능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구조디자인연구소(iESD)에서 제작한 텐서그러티 모듈(기본형)의 몇 가지 예를 제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본 정의(규정)뿐 아니라 기본 모듈의 유형을 소개하고, 건축에서 텐서그러티 모듈의 변형성과 응용성을 탐색한다.

Tensegrity is a relatively new structural system based on the use of continuous tension-discontinuous compression. Of course, a much more detailed structural investigation would be necessary, but at least in order to achieve the intended purpose,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principles and the fundamental forces of tensegrity. Once this point is established, the applications of them to architecture are described,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tructures. Then, in spite of the controversial definitions to explain these systems, several examples of tensegrity prototypes or modules constructed in iESD(Institute of Environmental Structure Design) are presented to illustrate the feasibility of tensegrity as a lightweight structure. In this work, consequently, the reformability and application of tensegrity modules have also been researched in architecture, after the patterns of basic module as well as fundamental definition are introduced.

저자
  • 최선영(충북대학교 건축공학과, 부교수) | Choi, Sun-Young
  • 박선우(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과 교수) | 박선우
  • 박찬수( 충북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 박찬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