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Rapid Visual Screening통한 건물 높이별 테러위험도 비교 분석 KCI 등재

A Comparative Analysis of Terrorism Threat Level of Domestic Tall Buildings and General Buildings through Rapid Visual Screen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159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공간구조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AND SPATIAL STRUCTURES)
한국공간구조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초록

최근 테러의 대상 범위는 보다 광범위해 지고 있으며, 국내의 테러발생위험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테러의 형태는 국가의 중요시설과 같은 경성표적(Hard Target)에서 초고층건물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의 연성표적(Soft Target)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Fema 455 - Rapid Visual Screening을 통해 국내의 초고층건물과 고층건물의 테러위험도 평가결과를 국내의 저층건물의 테러위험도 평가결과와 비교하여 초고층건물의 테러위험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고층건물 및 고층건물은 저층건물에 비해 Consequences, Vulnerability Rating보다 Threat Rating항목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이는 초고층건물의 거주인원 및 국가적 또는 지역적인 상징성 및 가시성 부분에서 테러위험도가 높은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As the scope of the target of terrorism is recently extending, the danger of domestic terroristic attacks is increasing constantly, and the form of terrorism is changing from hard targets such as significant facilities of the country into soft target of multi-complex buildings such as skyscraper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s the terrorism threat level on skyscrapers by comparing the assessment results of the terrorism threat level on skyscrapers and high-rise buildings with the assessment results of the terrorism threat level on low-rise buildings through fema 455 - Rapid Visual Screening. As a result, skyscrapers and high-rise buildings are relatively higher threat rating than consequences and vulnerability rating. This is caused by the fact that the terrorism threat level on skyscrapers is high due to their residents and their national or regional symbolism and visibility

저자
  • 송진영(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과 석사과정) | Song, Jin-Young
  • 윤성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공학박사) | 윤성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