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형광 현미경 시스템 구성과 3차원 영상구현

Composition of a Laser Scanning Confocal Fluorescence Microscope System and Realization of 3-Dimensional Imag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175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화상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화상학회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초록

공초점 레이저 형광 현미경은 시료의 관찰하고자 하는 층에 대한 정보만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포에 형광물질을 발광시켜 세포의 내부 단면을 볼 수 있으므로 생명과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
에 이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장이 488 nm인 Ar-ion 레이저를 광원으로 사용하고, NA=0.75인
배율 60x인 대물렌즈를 사용하여 레이저 스캔 공초점 형광 현미경 시스템을 구성하여 PMT(photo
multiplier tube)를 통하여 파장이 505 nm의 빛이 입사되었을 때 515 nm 파장의 형광을 방출시키는 1.1
μm크기의 형광 bead 형상에 대한 정보를 얻어 Labview 프로그램으로 2차원 영상을 얻었다. 그리고
Aviz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된 2차원 영상들을 포개는 방식으로 3차원 영상을 얻었다.

Laser scanning confocal fluorescence microscope can be applied to variety of fields
such as lifescience and medical science because it can obtain not only the information about the
observing layer but also can capture the inner cross-sectional image of cells. In this study, a laser scanning confocal fluorescence microscope system was composed by using the Ar-ion laser(488 nm) as a light source and a 60x(NA=0.75) microscope objective lens, and obtained the 2D images of 1.5μm fluorescence beads which emit 515 nm fluorescence when excited by 505 nm light using the Labview computer program and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PM tube. After then, the 3D images of the fluorescence beads were constructed by the piling up of the 2D images using the Avizo program.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 론
 2. 공초점 형광 현미경의 시스템 구성 및 프로그램
 3. 실험 및 논의
 4. 결론
 참고
문헌
저자
  • 김정민(울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 Jung Min Kim
  • 구외철(울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 Woy Churl Koo
  • 김석원(울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 Sok Wo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