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네트워크 카메라 기반의 화재 감지 시스템

Fire Recognition System based on Network Camer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181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화상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화상학회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초록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연기만을 감지하는 연기감지(smoke detector) 센서에 카메라의 시각기능을 부여한 화염감지(flame detector) 모듈을 추가하여 고기능의 화재 감지 시스템의 구현을 제안한다. 제안한 화재감지 시스템은 연기감지 센서에서 연기신호를 감지하여 카메라에 내장된 RS-232포트로 전달하고 이를 TCP/IP 모듈을 통해 제어 시스템으로 전달한다. 화염의 감지는 카메라에서 받은 영상 신호를 JPEG 으로 압축하여 TCP/IP로 제어 시스템으로 송신하여 화염감지 여부를 판단한다. 화염감지 알고리즘은 JPEG 영상을 복호화 하여 HSI 영역으로 변환한 다음, 화염의 관찰모델로부터 화염의 외부 경계추출, 모폴로지 연산, 영역채움, 거짓 추출된 화염 제거 등의 영역해석을 수행함으로써 화염을 인식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형광등이나 주변 사람의 움직임의 변화에 무관하게 화염을 감지하는 매우 좋은 결과를 보여 준다.

This paper presents a highly reliable fire detection system that integrates the smoke detector
connected through RS-232C and the flame detector of TCP/IP camera which transmits a image encoded by JPEG compression. The algorithm of flame recognition first decodes the received images to change RGB data to HSI data and extracts regions near outer boundary of fire from our observation model. And the morphological operation followed by blob analysis such as filling the interior holes and removing small area due to noises are processed to recognize flam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is system is very efficient for detecting fire without regard to fluorescent lamp or motions.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 론
 2. 화재 감지 시스템의 구성 및 기능
 3. 화염 감지 알고리즘
 4. 실험 결과
 5. 결론 및 향후 과제
 참고 문헌
저자
  • 이준재(계명대학교 게임모바일콘텐츠학과) | Joon Jae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