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벼 중만생 양질 내병 다수성 ‘희망찬’ KCI 등재

A Medium-late Japonica Rice Cultivar ‘Huimangchan’ with Super High Yiel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05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육종학회지 (Korea Journal of Breeding Science)
한국육종학회 (The Korean Breeding Society)
초록

‘희망찬’품종은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다수성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2000년 하계에 ‘밀양165호’를 모본으로 ‘신동진벼’와 ‘YR19105-Acp222’를 교배한 F1을 인공 교배한 계통이다. F3 이후부터는 계통육종법에 의하여 육성 선발하여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생산력검정을 실시한 결과 수량성이 높고 내병성인 ‘HR22431-B22-4-2-1’계통을 ‘익산525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익산525’호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수량성이 높고 내병성이 강한 우수한 계통으로 인정되어 2011년 12월 농촌진흥청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 심의회에서 ‘희망찬’으로 명명하였다. ‘희망찬’의 주요특성을 보면 보통기 다비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8월 17일로 ‘한마음’보다 3일 늦은 중만생종이다. ‘희망찬’의 간장은 96 cm로 ‘한마음’보다 15 cm 크며, 주당수수 및 수장은 각각 11개, 23 cm로 비슷하고 수당립수는 114개로 많다. 등숙비율은 85.9%로 ‘한마음’보다 높으며, 현미천립중은 27.2 g으로 일반 품종보다 무거운 편이다. ‘희망찬’ 쌀의 외관은 심백이 약간 있으나 ‘한마음’보다 아밀로스 함량이 낮고 밥맛이 좋으며, 특히 가래떡 제조에 알맞은 품종이다. ‘희망찬’의 내병충성에 있어서는 도열병, 흰잎마름병 레이스 Kl-3 및 줄무늬잎마름병에는 저항성 반응을 보였으나 멸구 및 매미충류에는 약한 반응을 보였다. 내냉성에 있어서는 유묘 내냉성이 ‘한마음’보다 강한 편으로 임실률은 약간 높다. ‘희망찬’의 쌀수량은 6개 지역의 보통기 다비재배에서 6.18 MT/ha로 ‘한마음’보다 4% 증수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희망찬’의 재배적응지역은 중부이남 평야지 1모작지에 알맞은 품종이다.

‘Huimangchan’ is a new japonica rice variety developed and register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Department of Rice and Winter Cereal Crop, NICS, RDA in 2011. This variety was derived from the three-way cross of ‘Milyang165’,‘Shindongjin’ and ‘YR19105-Acp222’. This variety has about 126 days of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ing in Honam and Youngnam plain of Korea. It is about 91 cm in culm length and tolerance to lodging. In reaction to biotic stresses, it shows moderate resistance to blast, resistance to bacterial blight pathogen races from K1 to K3, and rice stripe virus, but susceptible to other major diseases and insect pests. The milled rice of ‘Huimangchan’ has high quality, midium short grain. The milled rice yield of this variety is about 6.18 T/ha in local adaptability test for three years. ‘Huymangchan’ would be adaptable to Middle plain, Honam plain and Youngnam plain area of Korea.

목차
Abstract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육성경위
  주요특성
  수량성
  적응지역 및 재배상 유의점
 적 요
 사 사
 REFERENCES
저자
  • 하기용(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Ki-Yong Ha Corresponding author
  • 고재권(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Jae-Kwon Ko
  • 남정권(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Jeong-Kwon Nam
  • 신문식(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Mun-Sik Shin
  • 김보경(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Bo-Kyeong Kim
  • 백만기(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Man-Kee Back
  • 박현수(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Hyun-Su Park
  • 강현중(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Hyeon-Jung Kang
  • 고종철(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Jong-Cheol Ko
  • 김기영(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Ki-Yeong Kim
  • 신운철(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Woon-Chul Shin
  • 김우재(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Woo-Jae Kim
  • 백소현(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So-Hyun Bae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