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에르메스의 브랜드아이덴티티 관점에서 화예디자인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Floral Art and Design in Hermes Brand Ident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13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우리나라의 화훼사업이 발달하면서 플라워샵이 날로 늘어가고 있으며 , 이미 서울의 부유한 강남지역에서는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플라워샵의 화예디자인은 갈수록 획일화되어가고, 더욱이 경제난으로 인해 소비자의 발길도 줄어들어 어려움을 피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효과적으로 화예디자인을 부흥시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명품브랜드와의 전략적 제휴를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예디자인이 명품브랜드의 감성마케팅 측면에서 활용된 사례를 토대로, 설문을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어울리는 화예디자인의 요소와 작품을 선정하여, 그 연계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에르메스 브랜드 화예디자인에 가장 어울리는 것으로 선정된 요소들과 작품은 앞에서 분석한 에르메스 브랜드 아이덴티티 내용과 일치하였다. 이로서 화예디자인은 브랜드 아이덴티티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명품브랜드와 콜라보레이션 하기에 충분한 요소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명품브랜드와 화예디자인의 콜라보레이션 방향을 설정함에 있어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다만 하나의 브랜드에 국한되어 있다는 한계점이 있으므로, 추후 다른 명품브랜드의 화예디자인과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Many new flower shops are open nowadays in the horticultural industry in Korea and this has created a saturated market. In the affluent southern parts of Seoul, the market is already saturated because one can build strong business with little capital and minimum experience. If flower shop owners cooperate with only one luxury brand, they can build up the identity of the flower shop but in reality this phenomenon creates an overflow of similar designs and efforts to promote their products. This paper is based on the application of floral & art design within emotion marketing and the study of examples of floral & art design and the satisfaction between luxury brands and customers. The research process is a case study of floral products and applications and it investigates tendency of preference depending on area, age, sex, and income level within the survey. Through the case study, this research shows people are satisfied with the current floral products. This high level of satisfaction makes it possible to maximize gratification. Also, this research shows how florists approach and create floral art design which matches the brand identity, based on the survey which shows the process of discovering floral design images corresponding to each individual brand. Unusual designs and various items build high levels of satisfaction. Based on this research, we can expect expansion and development in Korea's horticultural industries. In the future, constant new

저자
  • 김동찬(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 Dong Chan Kim
  • 최우영(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조정학과) | Woo Young Choi
  • 정재은(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 Jae Eun Ju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