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대에 따른 소쇄원 수목의 변화에 대한 고찰 KCI 등재

A Study on the Changes of Trees through the Times in Soswewon Gard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13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전라남도 담양에 위치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원림인 소쇄원은 1520년대 후반과 1530년대 중반 조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548년 소쇄원 48영과 1755년 소쇄원도에 등장하는 수목 및 1976년 정동오, 1999년 유재은에 의해 조사된 수목에 대한 시대별, 공간별 수종과 수량의 변화에 대해 비교 조사하였다. 소쇄원 48영과 소쇄원도에는 각각 12종의 수종이 등장하였고, 1976년의 현장조사에서는 25종 73그루, 1999년의 현장조사에서는 24종의 수종이 식재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2년 7월의 본 현장조사에서는 공간을 보다 세분화하여 전정(前庭), 원정(垣庭), 계정(溪庭), 오정(塢庭), 후정(後庭), 내정(內庭) 등 총 6개 구역으로 나눠서 조사하여 26종의 99주가 식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00~300년 전과 비교해서는 수목의 식재가 많이 다른 것으로 파악되었고 현재와 1900년대에 조사한 자료와 비교하여도 수목의 종류와 수량은 다소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소쇄원 원림식생의 전통적 원형유지와 보존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적정한 관리가 필요하다.

Soswewon, the representative garden of Korea located in Damyang, South Cholla Province, was made over the period between the latter half of the 1520s and the mid-1530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periodical and spatial changes in the species and quantities of trees found in Soswewon 48young in 1548 and in Soswewondo in 1755 and of trees surveyed by Jeong Dong-oh in 1976 and by Yu Jae-eun in 1999. 12 species of trees were found each in Soswewon 48young and in Soswewondo, and it was found that 25 species of 73 trees grew in the 1876 on-spot survey and 24 species of trees grew in the 1999 on-spot survey. The on-spot survey conducted in July, 2012 investigated the garden space by subdividing it into 6 domains such as the front garden, the enclosure garden, the valley garden, the bank garden, the back garden and the inner garden, in which 26 species of 99 trees were grown. Periodical and spatial comparison of species of trees showed that the present species of trees we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200~300 years ago. And comparison of data published at present and in the 1900s showed that there was a more or less difference in the kinds and quantities of tre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a continual monitoring and proper management of the garden trees of Soswewon in order to maintain and preserve its traditional original form.

저자
  • 김준연(나사렛대학교 플라워조경디자인학과) | Junyon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