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가을 전시회 및 월간지 화훼장식 작품에 사용된 식물소재의 종류와 사용빈도의 변화 KCI 등재

Changes in Species and Frequency of Plant Materials Used for Floral Design Works in Autumn Exhibition and Monthly Magazin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14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화훼장식 소재 이용의 흐름을 파악하여 금후의 트렌드를 가늠해 봄으로써 화훼장식의 유행을 선도할 목적으로, 1998년부터 2007년까지 10년간의 (사)대구서라벌꽃예술협회 전시회 1,195 작품과 월간지 플레르 914 작품에 대해 식물성 소재 중 절화, 절엽, 절지의 종류 및 사용빈도를 조사하였다. 각 품목별 상위 10위의 소재를 보면, 절화류는 국화, 안수리움, 맨드라미, 장미, 해바라기, 용담, 심비디움, 칼라, 나리속, 극락조화 등이고, 절엽류는 아스파라거스속, 엽란, 필로덴드론 셀로움, 드라세나속, 루모라고사리, 잎새란, 몬스테라, 편백, 아이비, 절지류는 버드나무속, 청미래덩굴, 흰말채나무, 삼지닥나무, 노박덩굴, 풍선초, 다래덩굴, 속새, 화살나무, 대나무였다. 사용 빈도가 증가 추세인 식물성 주소재로는 전시회 작품에서 절화류의 국화, 맨드라미, 수국, 심비디움과 절엽류의 드라세나속, 편백, 엽란, 절지류의 속새, 삼지닥나무, 히페리쿰 등으로 나타났으며, 월간지 작품에서는 절화류의 장미, 국화, 안수리움, 심비디움, 맨드라미, 나리속과 절엽류의 아스파라거스속, 이끼, 필로덴드론 셀로움, 파초일엽, 유칼립투스, 절지류의 흰말채나무, 대나무, 노박덩굴, 풍선초, 히페리쿰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화훼장식의 식물소재는 지속적으로 개발, 변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작품의 표현방법도 다양해 질 것으로 생각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pprehend the fashion tendency of materials in floral design and to lead the future’s trend through investigating the frequency of use in plant and non-plant materials based on 2,109 pieces of works published during recent decade. Ranking of top ten in plant materials was Dendranthema spp., Anthurium andreanum, Celosia cristata, Rosa hybrida, Helianthus annuus, Zantedeschia aethiopica, Lilium, Gentiana scabra, Strelitzia reginae, Cymbidium hybrida, and Gebera jamesonii in cut flowers, Asparagus densiflorus, Aspidistra elatior, Philodendron selloum, Dracaena, Rumohra adianriformis, Phormium tenax, Monstera deliciosa, Chamaecyparis obtusa, and Hedera helix in cut foliages, and Salix, Smilelax china, Cornus alba, Edgeworthia papyrifera, Celastrus orbiculatus, Cardiospermum halicacabum, Actinidia arguta, Equisetum hyemale, Euonymus alatus and Phyllostachys bambusoides in cut stems, which were mainly produced all the year round and new species. Timber and straw were used most frequently as subplant materials. Metal was the non-plant material used most frequently in floral design. Component ratio of plant materials was over 60%, but using frequency of non-plant material tended to be increas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 use of new species purchasable through the year, environment-friendly material related to creativity, and universal materials for emphasis on that of original characteristics in works, and it will correspond with futuristic trend.

저자
  • 임영희(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환경관리학과 화훼장식전공,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원예생명과학과) | Young Hee Lim
  • 김수미(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환경관리학과 화훼장식전공) | Su Mi Kim
  • 오욱(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환경관리학과 화훼장식전공,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원예생명과학과) | Wook Oh Corresponding author
  • 김규원(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환경관리학과 화훼장식전공,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원예생명과학과) | Kiu Weo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