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전통정원의 식재 배치 유형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Planting Types of Traditional Korean Gard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21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정원을 식물 선택 및 배식 기법의 측면에서 고찰하여 당시의 식생 현황을 옛 그림이나 문헌을 통해 간접적으로 유추하여 자연 천이 및 인위적인 변형 등을 통해 변화된 오늘날의 모습과 비교․분석하여 전통정원 조성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선시대 궁궐정원, 별서정원 및 주택정원을 고찰한 결과, 전통 정원의 전통성을 전달할 수 있는 공간 구성과 상징적 및 사상적 의미를 가지는 식물종 선택이 매우 중요하며, 구체적으로 전통정원의 공간 기능, 배식 의미, 식물 종, 경관 요소 등을 도출하여 식재 유형 예시도를 작성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국 전통정원의 현재 모습의 기록 및 국내․외 한국 전통정원 조성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을 기대할 수 있다.

For proposing guidelines for designing the traditional Korean gardens applicable to botanical gardens and arboreta, we studied on the space characteristics by planting design, selected plants species, and the meaning of them referred to reference books or painted in pictures comparing to present design. Tak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Korean gardens in palaces, retreating villas, and houses into consideration, it was important to choose the plant species and garden elements which could represent Korean traditionality and symbolism. And we made examples of planting design diagrams considered spatial function, meaning of planting design, plant species, and garden elements. From results, we suggested the guidelines for designing the traditional Korean gardens which could be applied in domestic and foreign botanical gardens and arboreta.

저자
  • 송정화(국립수목원 전시교육과) | Jeong Hwa Song
  • 진혜영(국립수목원 전시교육과) | Hye-Young Jin
  • 신지훈(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Ji-Hoon Shi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