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일산신도시와 동탄신도시 상업지역 가로의 경관색채 비교 분석 KCI 등재

A Comparative Analysis about Color-Scape of the Streets of Commercial District in Ilsan and Dongtan New Tow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22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현재 도시의 외관을 표현하는 경관색채에 관련된 세부적인 가이드라인이 없다. 본 연구는 색채의 조사 분석단계에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방법을 통해 1990년대에 조성된 1기 신도시인 일산신도시와 2000년대에 조성된 2기 신도시인 동탄신도시를 선정하여 상업지역 가로의 건축물과 옥외광고물을 대상으로 색채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일산신도시와 동탄신도시의 가로경관색채를 분석한 결과, 첫째, 일산신도시가 동탄신도시 보다 무채색의 비율이 5배정도 높게 나타나 정적이고 딱딱한 이미지를 나타냈다. 둘째, 두 지역 모두 B계열을 포함한 한색 계열에서 가장 높은 유채색의 비율을 나타냈는데 이는 건물 외관의 짙은 유리창 면적이 넓게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유리창 면적을 제외한 건축외벽의 색에서 무채색이 많이 분포한 일산신도시와 달리 동탄신도시는 난색 계열인 YR계열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두 지역 모두 계열별 색상 분포 그래프의 모양은 비슷하게 나타났지만 동탄신도시가 각 계열 안에서좀 더 다양한 색상이 쓰였다. 이와 같이 1990년대와 2000년대에 조성된 두 도시의 색채 경관색채 분석에 사용된 본 연구의 방법은 향후 다양한 지역의 조사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urrently, the city that represents the views of the exterior color is not related to the detailed guidelines. This study examined the color of the objec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in the analysis phase through the Dongtan New Town was selected as Ilsan. Dongtan New Town Ilsan and color analysis of the streetscape, First, the Dongtan New Town Ilsan five times higher than the proportion of colorless appears the image was static and rigid. Second, the B series in the series, including the cool color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chromatic colors. The facade of the dark because the windows are occupied wide area. However, construction of exterior walls, excluding windows, colors, colorless area distributed Ilsan, unlike a lot of Dongtan New Town YR order the disapproval ratio was higher in the series. Third, by major color distribution in both regions showed a graph similar to the shape of the Dongtan New Town, but within each series, I felt a little more colorful. Thus in the 1990s and 2000s raised the colors of the two cities colorful landscape of the study methods used in the analysis of various regions in the future could be used in research is considered.Key words: Business area, New town, The image of street, Urban street main color

저자
  • 김동찬(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Dong-Chan Kim
  • 이가영(경희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Ga-Young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