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2011년도 환경부 인증 환경 체험교육의 현황과 제언 KCI 등재

The State and Suggestion of Eco-experienced Education Based on the Ministry of Environment Certification Programs of 2011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32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국내 환경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더 나은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방향을 제언하여 환경의식고취를 목적으로 2011년도 환경부가 인증한 환경교육 프로그램 31개를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인터넷 검색과 각 통계자료 및 문헌을 참고하였으며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학교환경교육은 환경교과서로 교육되고 있으며 사회환경교육은 정부기관 및 민간기업, 단체 등에 의해 다양하게 교육되고 있었다. 이를 프로그램 유형별로 분류 하면 실내체험형은 1(3%), 실외체험형 5(16%), 실내+실외체험형 19(61%), 실내체험+강좌형 3(10%), 실외체험형 3(10%0)개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을 주관하는 기관은 지방자치기관 5(16%), 국립공원 6(19%), 정부산하기관 7(23%), 시민사회단체 10(32%), 평생교육시설 1(3%), 개인기업 2(7%)개였으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은 24(78%), 중고생 4(13%), 대학생 ・ 일반인 1(3%), 유아 ・ 노인 ・ 장애인 ・ 기타 2(6%)개로 분류할 수 있었다. 지역별 프로그램 수는 서울 ・ 경기지역 12(39%), 강원도 4(13%), 충청도 5(16%), 경상도 6(19%), 전라도 3(10%), 제주도 1(3%)개로 나타났으며, 프로그램의 참가비는 주최기관에 따라 무료부터 최대 350,000원으로 정부관련 기관의 프로그램 참가비용이 대체적으로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보다 나은 환경교육을 위하여 현장체험교육 프로그램 및 다양한 대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확대를 통한 전국적 통합 교육센터 설립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written to understand the domestic state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experienced education. The study targets were the certified 31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by Ministry of Environment. For this investigation, we were searched on-line sites, references and materials. The 31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ypes, indoor experience 1(13%), Outdoor experience 5(16%), Indoor+Outdoor experience 19(61%), Indoor experience+Lecture 3(10%), Outdoor experience+Lecture 3(10%). The program’s operating agencies were Local self-government 5(16%), National park 6(19%), Government affiliated organization 7(23%), Association 10(32%),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 1(3%), Company 2(7%). The program’s participants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24(78%), middle school students 4(13%), adults 1(3%), kid・old age・handicapped・other 2(6%), and the rate of programs by regions were Seoul, Gyeonggi 12(39%), Gangwon 4(13%), Chungcheong 5(16%), Gyeongsang 6(19%), Jeolla 3(10%), Jeju 1(3%). The rate of programs by educational cost were free 11(35%), 500~9,900 3(10%), 10,000~20,000 6(19%), 25,000~50,000 3(10%), 60,000~99,000 4(13%), 100,000~350,000 4(13%). For the better environmental education, first of all, we need to develop better and various program contents that participants can experience. And it should be supported from the government. Finally, the ‘eco-education center’ should be established that can combine local environmental education system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적요
  Ⅴ. 인용문헌
저자
  • 이진희(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Jin-Hee Lee
  • 박지나(상명대학교 산업과학연구소) | Ji Na Par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