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주택정원의 공간 구성 요소 변화에 관한 분석 KCI 등재

Alteration Analysis of Spatial Components in Different Home Garde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32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주택정원의 구성요소의 변화 추이를 분석 하고자 하였다. 포천시 이곡리 정원은 식재의 경우는 수량 면에서 상록교목이 0.65%, 낙엽교목이 -37%, 상록관목이 84.8%, 낙엽관목이 104.5%, 초화류가 56.3%, 잔디가 86.6%의 증감율을 보여주고 있다. 수종의 변화는 22.2%, 초종의 변화는 250%로 증가했다. 시설물의 변화는 33.3%의 증가율을 보인다. 양주시 연곡리A 정원은 식재의 경우는 수량 면에서 상록교목이 12.5%, 낙엽교목이 8.3%, 상록관목이 13.3% 낙엽관목이 -31.9%, 초화류가 46.5%, 잔디가 70.0%의 증감률을 보여주고 있다. 수종의 변화로는 15.4%, 초종의 변화는 0%의 증가율을 보인다. 시설물의 종류 변화는 100%의 증가율을 보인다.양주시 연곡리B 정원은 식재의 경우는 수량 면에서상록교목이 588.8%, 낙엽교목이 5.9%, 상록관목이 62.5% 낙엽관목이 10.9%, 초화류가 0%, 잔디가 0%의 증감율을 보여주고 있다. 수종의 변화로는 11.1%, 초종의 변화는 0%의 증가율을 보인다. 시설물의 종류 변화는 60%의 증가율을 보인다.양주시 연곡리C 정원은 식재의 경우는 수량면에서상록교목이 50.0%, 낙엽교목이 -129.9%, 상록관목이 -10.6% 낙엽관목이-17.5%, 초화류가 10.2%, 잔디가0%의 증감율을 보여주고 있다. 수종의 변화로는 5.3%, 초종의 변화는 0%의 증가율을 보인다. 시설물의 종류 변화는 61.5%의 증가율을 보인다. 양주시 교현리 정원은 식재의 경우는 수량 면에서 상록교목이 50.0%, 그리고 신규로 낙엽교목이 8주 상록관목이 526주 낙엽관목이 233주 증가하였고 , 초화류가13.6%, 잔디가 -55.8%의 증감율을 보여주고 있다. 수종의 변화로는 800%, 초종의 변화는 -75%의 증가율을 보인다. 시설물의 종류 변화는 85.7%의 증가율을 보인다.이와 같은 주택정원의 변화 추이를 살펴본 결과 주택정원의 구성요소는 공간한정요소의 변화율이 클수록 공간수식적요소의 변화율도 커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alteration analysis of spatial components in different home garde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case of planting, the Pocheon-si Igok-ri garden informed that the ratio of evergreen tall tree increased by 0.65%, deciduous leaves tree -37%, evergreen shrub 84.%, deciduous shrub 104.5%, herbaceous ornamental 56.3%, grass 86.6% in the quantity aspects. The change of species of trees increased by 22.2%. The change of species of herbaceous ornamental increased by 250%. The change of facilities increased by 33.3%. In the case of planting, the Yangju-si Yeongok-ri A garden informed that the ratio of evergreen tall tree increased by 12.5%, deciduous tree 8.3%, evergreen shrub 13.3%, deceduous shrub -31.9%, herbaceous ornamental 46.5%, grass 70% in the quantity aspects. The change of species of trees increased by 15.4%. The change of species of herbaceous ornamental increased by 0% . The change of facilities increased by 100%. In the case of planting, the Yangju-si Yeongok-ri B garden informed that the ratio of evergreen tall tree increased by 588.8%, deciduous tree 5.9%, evergreen shrub 62.5%, deciduous shrub 10.9%, herbaceous ornamental 0%, grass 0% in the quantity aspects. The change of species of trees increased by 11.1%. The change of species of herbaceous ornamental increased by 0%. The change of facilities increased by 60%. In the case of planting, the Yangju-si Yeongok-ri C garden informed that the ratio of evergreen tall tree increased by 50%, fallen leaves tree -129.9%, evergreen shrub -10.6%, deciduous shrub -17.5%, herbaceous ornamental 10.2%, grass 0% in the quantity aspects. The change of species of trees increased by 5.3%. The change of species of herbaceous ornamental increased by 0%. The change of facilities increased by 61.5%. In the case of planting, the Yangju-si Gyohyeon-ri garden informed that the ratio of evergreen tall tree increased by 50%, fallen leaves tree 8, evergreen shrub 526, deciduous shrub 233, herbaceous ornamental 13.6%, grass -55.8% in the quantity aspects. The change of species of trees increased by 800%. The change of species of herbaceous ornamental increased by 0%. The change of facilities increased by 85.7%. In its final analysis, the transition of the components of residential garden informs that the more the ratio of space divider increase, the more the ratio of space modifier increas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적요
  Ⅴ. 인용문헌
저자
  • 이주형(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개발경영·교통학과) | Joo-Hyung Lee
  • 최봉수(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조경학과) | Bong-Su Choi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