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등학생용 환경행동 측정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KCI 등재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nvironmental Behavior Instru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34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이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환경행동을 측정 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그 규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두 차례의 예비조사와 내용타당도 검증을 활용하여 측정도구를 개발하였고 전국의 832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환경행동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문항분석(평균, 왜도, 첨도, 문항-전체 상관),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t검증을 활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첫째, 개발된 우리나라 초등학생용 측정도구는 우리나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소비자 행동, 환경관리 행동, 학습 행동, 상호작용 행동의 네 영역 각 4문항씩 총 16문항으로 구성되며 신뢰도는 0.841이다. 둘째, 개발된 측정도구로 측정한 결과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5학년이 6학년보다 점수가 높았다. 셋째, 제시된 규준은 이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얻은 결과 값을 비교 할 수 있었다. 즉, 측정한 값이 우리나라 초등학생 전체에서 어느 정도에 위치하는지 규준을 토대로 파악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ment for measuring environmental behavior (EB) of elementary students in Korea. Two pilot test and content validation were undertaken to modify the items. Eight hundred and thirty two fifth and sixth graders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urvey instrument. To asses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B instrument, item analysis (mean, skewness, kurtosis, item-total correlation), internal consistency estimat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test were us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major conclusions were reached as follows: First, it was appropriate to use the 4-dimensional EB instrument (consumer behavior, eco-management behavior, learning behavior, interaction behavior) with 16 items for elementary students in Korea. Second, The EB level for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and the EB level for fifth graders was higher than those of sixth graders. Third, the norms that measured EB instrument were useful for comparing EB levels by gender and grad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고찰
  Ⅴ. 적요
  Ⅵ. 인용문헌
저자
  • 금지헌(대구대성초등학교) | Jiheon Keu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