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신안튤립축제 방문객의 축제 만족도 조사 및 행사평가 KCI 등재

The Appraisal and Investigation of Visitors' Satisfaction in Shinan Tulip Festiva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34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제3회 신안튤립축제의 방문객 만족도와 행사 내용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축제기간인 2010년 4월 16일부터 25일까지 축제장을 방문한 전라남도 거주자 219명과 타지역 거주자 71명 등 총290명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방식으로 조사하였다. 축제장까지의 교통 편리성에 대해 방문객들은 가장 만족했다고 평가해주었다. 풍차, 튤립공원, 튤립포장 등 축제시설에 있어서도 두 번째로 만족해했고. 안내원의 서비스도 대체적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휴게시설이나 화장실과 같은 편의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각각 6.68과 6.36점으로 낮았으며, 축제상품의 다양성, 가격, 품질에 대한 평가에서도 각각 6.27, 6.19, 6.35점으로 나타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축제음식의 다양성, 가격, 맛은 조사항목 23개 중 가장 낮은 접수를 받아 방문객틀이 가장 불만족해 하는 요인으로조사되었다. 방문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재방문을 위해서는 새로운 양질의 축제 관련 음식을 개발하고, 지역 음식을 판매하는 부스를 설치할 필요가 있고, 다양한 축제 프로그램과 새로운 우수 품질의 축제 상품들을 개발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ppraisal and visitor satisfaction in the 3rd Shinan Tulip Festival. It was investigated from 16 April to 25 April on 290 visitors of Shinan Tulip Festival. Visitors consisted of 219 Jeollanamdo and 71 other region tourists. It was found that entrance and traffic convenience was the most satisfied factors in visitors. The festival facilities such as windmill, tulip park, and farm, was secondly satisfied factor, and the service of guide was chosen as third favorite item. The satisfaction level of convenience facilities, resting place and lavatory was low by 6.68 and 6.36 point, respectively. And, diversity, price, and taste of festival foods were the most unsatisfied factors from visitors among 23 items. To increase visitors' satisfactio, development of new food and establishment of local food booth is necessary. Also, development of various festival programs and products of good quality is recommended to increase the visitors satisfaction and for revisit of visitor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적요
  Ⅴ. 인용문헌
저자
  • 안홍균(목포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 Hong Gyun Ahn
  • 유용권(목포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목포대학교 자연자원개발연구소) | Yong Kweon Yo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