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정신건강,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y on the Mental Health, Self-esteem, and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y on the Mental Health, Self-esteem, an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35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목포시 C동 지역아동센타를 이용하는 아동 4명을 대상으로 2008년 10월 6일부터 2009년 5월 25일까지 총 33회기를 매주 1회 1시간씩 실시하였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정신건강,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사회적 능력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평가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후를 비교한 결과, 정신건강 검사에서 4명의 대상자들이 모두 향상되었고, 실시 전 평균 31.5점에서 실시 후 평균은 23.5점으로 8.0점이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4명 모두 프로그램 실시 전에 비해 실시 후 모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실시 전 평균 99.8점에서 실시 후 평균 108.0점으로 8.2점이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교적응력을 측정한 결과, 프로그램 실시 전에 비해 실시 후 4명 모두 향상되었고, 실시 전 평균 103.0점에서, 실시 후 평균 112.8점으로 9.8점이 향상되어 효과성이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적 능력은 4명의 대상자들 모두 프로그램 실시 후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고, 실시 전 평균 133.0점에서 실시 후 평균은 153.5점으로 20.5점이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아동의 정신건강과 자아존중감 향상시키며, 학교 적응력 및 사회적 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s(HAP) on the mental health, self-esteem and sociality in children from low income family. The four students of children centre in C district of Mokpo are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HAP were conducted 1 time per week from October 6th 2008 to May 25st 2009. To examine the effect of HAP, self-esteem, social competence, school adjustment level were evaluated between before and after program. The mental health level was improved significantly from 31.5 point to 23.5 point after HAP than before HAP, and those of all results were significantly in statistics. The self-esteem was improved significantly from 99.7 point to 108.0 point in self-esteem after HTP than before HTP,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fter HAP than before HAP. The school adjustment in this 4 children was improved significantly from 103.0 point to 122.8 point after HAP than before HAP,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fter HAP than before HAP. The social competence in 4 children was improved significantly from 133.0 point to 153.5 poin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fter HAP than before HAP. Therefore, HAP was effective in mental health, self-esteem, school adjustment, and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from low income famil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적요
  Ⅴ. 인용문헌
저자
  • 윤은주(목포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 Eun Ju Yun
  • 유용권(목포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 Yong Kweon Yo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