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토성, 퇴비, 및 석회질비료 처리에 따른 튤립 구근의 생육 KCI 등재

Bulb Growth by Treatment of Soil Texture, Compost, and Lime Fertilizer in Tulipa gesneriana Cultiva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37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전남 신안군 임자도에서 토성(사질토양, 밭토양, 사질토와 개펄을 혼합한 토양)과 퇴비 및 석회질 비료시비 등 토양환경에 따른 튤립 구근의 생육을 조사하여 구근생산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Ballerina', ‘Golden Apeldoorn', ’Kees Nelis', ‘Merry Christmas', 'Up Star' 품종 모두 밭토양에서 구근의 생육이 불량하였고, 사질토+개펄토양에서 주구의 직경, 구고, 구둘레, 구중 등 구근의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다. 퇴비 처리에 있어서 'Dreaming Maid', ‘Dynasty', ‘Leen van de Mark' 품종은 무처리에 비해 퇴비를 표준량 또는 표준량의 1/2배 처리시 주구의 구고, 구둘레, 구중 등에서 양호한 생육 결과를 보여 주었다. ’Hollandia'와 ’Negrita' 품종은 전반적으로 퇴비 처리에 따라 구근 생육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석회질 비료처리에서 ‘Strong Gold' 품종은 무처리구에 비해 표준량 또는 표준량의 2배 처리한 것에서 구고, 구둘레 및 구중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고, ’White Dream' 품종은 표준량의 1/2배 처리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by treatment of soil texture(sandy soil, sandy+tidal flat soil, and up land), compost, and lime on the bulb growth in bulb production of Tulipa gesneriana cultivars in Imjado, Shinan, Jeonnam. In 'Ballerina', ‘Golden Apeldoorn', ’Kees Nelis', ‘Merry Christmas', and 'Up Star' cultivars, bulb growth, such as bulb diameter, height, circumference, and weight, was best in sandy+tidal flat soil, but was poor in up land. The compost treatment of standard fertilizing amount or 1/2 fold of standard fertilizing amount was more effective in bulb height, circumference, and weight than the other treatments in 'Dreaming Maid', ‘Dynasty', and ‘Leen van de Mark' cultivars. However, it was not different between compost treatment in ’Hollandia' and ’Negrita' cultivars. The lime treatment of standard fertilizing amount or 2 fold of standard fertilizing amount increased the bulb growth of ‘Strong Gold' cultivar. And, the lime treatment of 1/2 fold of standard fertilizing amount was effective in bulb growth of ’White Dream' cultivar.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적요
  Ⅴ. 인용문헌
저자
  • 이봉근(목포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원예과학과) | Bong Keun Lee
  • 유용권(목포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원예과학과) | Yong Kweon Yoo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