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원예치료가 시설노인의 선택반응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on Choice Reaction and Cognitive Function of Nursing Home Eld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38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원예치료가 시설노인의 선택반응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요양원에서 보호를 받고 있는 여성노인 9명을 대상으로 2010년 1월 4일부터 5월 4일까지 주 1회씩 총 18회를 실시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실내에서만 활동이 가능한 시설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제한된 공간 내에서도 다양한 원예활동을 제공하여 감각을 최대한 많이 자극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러한 감각 자극을 통해서 외부자극에 대해서 반응할 수 있는 능력뿐만 아니라 인지기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그래서 다양한 기법의 꽃 장식, 다양한 부자재를 활용한 식물심기 등을 실시하였다. 시설노인의 외부자극에 대한 반응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선택반응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은 17.56초에서 14.59초로 외부자극에 대한 반응 속도가 2.97초 빨라지기는 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지만(p=.098), 반면에 실험군은 원예치료 실시 전 외부자극에 대한 반응 속도가13.36초였으나 원예치료 실시 후에는 8.07초로 유의하게 빨라졌다(p=.026). 또한 원예치료가 시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인지기능검사도구인 정신상태 설문지(MSQ)를 측정한 결과는 대조군은 6.67점에서 6.21점으로 인지기능이 조금 감소되었으나 실험군은 원예치료 실시 전 6.11점에서 원예치료 실시 후 6.78점으로 인지기능이 조금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유의성은 없었다(p=.299). 다양한 기법을 활용한 꽃 장식과 여러 가지 부자재를 사용한 식물 심기 등은 시설 노인들의 감각을 자극하는데 상당한 효과가 있었다. 감각자극에 초점을 둔 다양한 원예활동을 통해 시설노인들은 원예치료사가 적은 새로운 원예 용어를 잘 읽을 수 있게 되었고 뿐만 아니라 색과 촉감에 대한 느낌을 많이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빛과 소리에 대한 외부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능력도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감각자극에 중점을 둔 다양한 원예활동은 시설노인의 선택반응능력과 인지기능향상에 효과적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nursing home elders’ choice reaction and cognitive function. For this purpose,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applied to 9 female elders at a nursing home through a session per week and a total of 18 sessions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4 to May 4, 2010. Because the subject nursing home elders were able to do only indoor activities,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designed to provide various horticultural activities within a limited space so that it could stimulate the elders’ senses as much as possible. Through the sensory stimuli, we aimed to enhance not only the elders’ ability to respond to external stimuli but also their cognitive function. Thus, the program included various flower decoration techniques, planting using various subsidiary materials, etc. When choice reaction was measured in order to se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nursing home elders’ ability to respond to external stimuli, the control group’s rate of reaction to external stimuli was improved by 2.97 seconds from 17.56 seconds to 14.59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p=.098). On the contrary, the experimental group’s rate of reaction to external stimuli was improved significantly from 13.36 seconds before the horticultural therapy to 8.07 seconds after (p=.026). Furthermore, when the mental state questionnaire (MSQ), a cognitive function inventory, was used in order to se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nursing home elders’ cognitive function, the control group’s cognitive function decreased slightly from 6.67 point to 6.21, but the experimental group’s cognitive function increased slightly from 6.11 before the horticultural therapy to 6.78 after 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p=.299). The use of various flower decoration techniques and planting using diverse subsidiary materials are highly effective in stimulating nursing home elders’ senses. Through various horticultural activities focusing on sensory stimuli, the nursing home elders became able to read new horticultural terms written by the horticultural therapist and to express their feelings to colors and touches. Furthermore, their abilities to respond to external stimuli such as light and sound were also enhanced. As evidenced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various horticultural activities focusingon sensory stimuli were effective in enhancing nursing home elders’ choice reaction and cognitive functio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적요
  Ⅴ. 인용문헌
저자
  • 윤숙영(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원예치료학과) | Suk-Young Yun
  • 유금오(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원예치료학과) | Kum-O You
  • 최병진(대구가톨릭대학교 자연대학 플라워디자인과) | Byung-Jin Choi
  • 김홍열(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원예치료학과) | Hong-Yul Kim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