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시설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설에 입소한 우울증상이 있는 노인들을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으로 나누어 각 6명씩 선정하여 9월 19일부터 12월 19일까지 매주 수요일,1회 1시 간씩 총 14회에 걸쳐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전파 후에 노인 우울 측정지 (GDE Ⅱ)와 자아존중감 측정지률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매회기마다 원예활동평가표를 이용하여 평가한 후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누어 효과를 분석하였다. 우울정도에 있어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헝집단에서는 프로그램 실시 전 23.5에서 실시 후 18.5로 강소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여 주었으나, 대조집단은 프로그램 실시 전 24.0에서 실시 후 24.0으로 변화가 없었다. 자아존중감의 경우 실험집단에서는 프로그램 실시 전 18.8에서 실시 후 27.3로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나. 대조집단은 프로그램 실시 전 19.0에서 실시 후 18.2로 약간 낮아졌다. 원예활동평가에서도 참여성, 언어소통 능력, 자아개념 및 주체성, 대인관계능력, 운동지각 능력, 숙련도와 직업적웅력 릉 6개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시설노인들의 우울을 개선하고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며, 원예활통평가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 효과적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HIP) on the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the older adult in specialty facilities. The twelve persons were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and they were divided into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HTP were conducted one times per week from 19 September to 19 December. To examine the effects of HfP, depression and self-esteem scale were evaluated between before and after program. Also, horticultural activity were evaluated every programs. In depression, experimental group taken HTP were improved significantly, and it's mean value was decreased to 18.5 after HTP compared with 23.5 before HTP. But, mean value of control group did not change to 24.0 after HTP compared with 24.0 before HTP. In self-esteem, experimental group taken HTP were improved significantly, and it's mean value was increased to 27.3 after HIP compared with 18.8 before HIP. But, mean value of control group did not change statistically to 18.2 after HTP compared with 19.0 before HTP.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changes in 6 items of 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y, participation, verbal interaction during activity, self concept and ident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exercise perceptivity, and life-tasks skill and vocational adjustment. Therefore, HTP was effective in improvement of the deprsssion, increase of self-esteem, and positive change of horticultural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