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거창 갈계숲 산림유전자원보호림 현황과 보전대책 KCI 등재

Current conditions and preservation strategies for the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Galgye Forest, Geochang County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42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갈계숲 산림유전자원보호림은 보전가치가 높은 소나무,오리나무,느티나무가 분포하여 생태적으로 중요하나 내부에 가선정,도계정 등 역사문화자원을 포함하고 있고 마을과 인접하여 이용공간으로도 중요하므로 균형잡힌 보전․이용계획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하천 내부에 입지하여 물리적으로는 물이풍부하나 마사질 토양의 특성으로 소나무(32.1%)가 우점종이었으나 하층식생은 빈약했으며 유전자보호목에 속하는 오리나무(5.2%)와 느티나무(17.7%)는 갈계정이 입지한 중반부의 수변과 내부의 갈계정 주변에 분포하였다. 운동시설은 하단부에 입지하여 보전과 이용의 공간부분이 가능한 상태이었다. 내부에는 소나무 255주, 오리나무 56주, 느티나무 132주와 함께 비자생종도 17종 113주가 식재되어 고유 생태계를 교란할 위험성이 있었다.유전자보호수목 중 30% 이상이 고사하여 생육불량인 수목은 126주(19.8%)로 지속적인 쇠퇴현상을 나타내고 있었다.이는 사면 침식방지를 위해 성토와 함께 콘크리트로 마감하여 하천과의 소통이 단절되었고 운동시설 설치와 휴게공간화 등 이용 심화가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에 있어서 시설물 설치로 인한 유전자원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계의 흐름을 고려하여 오리나무 생육과 연관된 지역의 석축을 제거하고 대경목 주변에 설치된 운동시설은 하단부 퇴적지로 옮기는 등 환경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비자생종 식재과 차대목 육성 부재로 인한 쇠퇴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유전자보호목에서 종자를 채취․발아시켜 키운 유목을 식재하여야 할 것이다. 이용공간의 난립은 상단부와 수변을 중심으로 하는 유전자원 보전공간과 하단부를 중심으로 하는 이용공간을 엄격하게 구분하여 더 이상의 확장을 방지하여야 할 것이다.

Galgae forests, an areas of Forest Genetic Resources Reserve, are ecologically important for presence of valuables trees such as Pinus densiflora, Alnus japonica, Zelkova serrata. Moreover, these areas are also highly valued to hav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s including Gasun pavilion, Dogye pavilionetc. in the areas. The present study aims to propose a balanced preservation plans for the areas with considering the land uses and eco-historic preservations. Site inventory and analys is revealed that areas were planted with 255 trees of Pinus densiflora, 56 trees of Alnus japonica, 132 trees of Zelkova serrata and also foreign plants(17 species, 113 trees). However, a third of these planted trees is dead, and 126 trees (19.8%)are in unhealthy condition. Unplanned embankment and intensive land uses are responsible for these problems. In order to conserve the genetic resource as well as to preserv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t was thus recommended to relocate the facilities, to replan the trails with consideration historic resources, and to replant genetically identical the next generation tre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내용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적요
  Ⅴ. 인용문헌
저자
  • 홍석화(버지니아공대 건축디자인학부) | 홍석환
  • 이수동(진주산업대학교 조경학과) | Soo-Dong Lee 교신저자
  • 임의제(진주산업대학교 조경학과) | Eui-je L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