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하천 생태적 특성에 따른 토양 무기물 및 식생조사 -평창강, 복하천 및 경안천을 중심으로- KCI 등재

The Study of Soil Nutrient and Vegetation Investigation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Stream Side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Pyungchang River, Bockha and Kyeongan Stream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44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식물의 하천공학적 접근방식을 통하여 식생생육과 자연환경과의 연관성을 밝히고 차후 자연형 하천을 이해하고 설계․시공함에 있어 건전한 생태적 환경 복원과 생물다양성 증진에 그 목적을 두었다. 평창강, 복하천 그리고 경안천의 식물상은 평창강 51과 202종, 복하천 33과 142종 그리고 경안천 42과 175종으로 하천 길이가 가장 긴 평창강이 출현식물 종수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성상별 출현종은 관목 및 만경류가 44종, 일․이년생 초본류가 102종, 다년생 초본류가 137종으로 다년생 초본류가 풍부하게 존재하고, 목본류도 많은 분포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토양산도(pH)는 평창강은 6.98이었고, 복하천은 5.18, 경안천은 6.61로 경안천의 pH가 낮은 경향이었다. 토성(ST, soil texture)의 모래(ST3) 구성비는 평창강이 평균 67.68%이고, 복하천의 평균은 66.90%, 경안천의 평균은 65.37%로 3개 하천의 구성비가 유사한 경향이었다. 세사(ST1) 100㎛이하 입자의 구성비는 평창강이 평균 8.66%로 하류로 갈수록 세사(ST1)의 함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concept "Nature-Friendly Watercourses" has been introduced, and was even becoming a tr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getation and the environment surrounding it. It was to be researched by the watercourse -technological approach. Vegetations were collected 284 species, 57 families; 202 species, 51 families at Pyungchang river, 142 species, 33 families at Bokha stream, 175 species, 42 families at Kyungan stream. Shrub of 44 species, 21 families, annual-biannual herbs of 102 species, 23 families and perennial herbs of 137 species, 34 families were distributed in stream. Results of soil inorganic matter analysis were nearly the same altogether streams, but soil acidity of Pyungchang river was pH 6.98, Bokha stream pH 5.18, and Kyungan steam pH 6.61. classification of soil texture divided to sands(ST3) and loam(ST2) but fine sands(ST1) was high ratio at Pyungchang river rather than Bokha and Kyungan stream. Bulk density was nearly the same to all stream.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적요
  Ⅴ. 인용문헌
저자
  • 김도한(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Do-Hahn Kim
  • 이광우(세계사이버대학 NGO 환경조경과) | Kwang-Woo Lee
  • 이진영(한국 지질자원 연구원) | Jin-Young Lee
  • 석용철(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Young-Cheol Seok
  • 허무룡(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Moo-Ryong Huh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