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도시녹지의 토지피복현황이 온열쾌적감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Influence of Land Cover Types on Thermal Comfort in Urban Openspa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48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여름철 인체 실험을 통해 온냉감, 쾌적감, 기류감 등을 측정하여 토지피복현황에 따라 인간이 느끼는 온열쾌적감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지피복현황에 따라 기상요소를 분석한 결과 기온의 경우 식재지가 최저온을, 포장지가 최고온을 형성하였다. 최고온역인 포장지와 최저온역인 식재지의 온도 차이는 3.9~4.1℃로 나타났다. 풍속의 경우 나지, 수면, 건폐지의 풍속이 1m/s 이상을 보였고 식재지, 초지, 포장지는 1m/s 이하의 풍속이 관측되었다.2. 풍속에 따른 기류감 및 기류평가에서 풍속이 증가함에 따라 기류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풍속이 0.3m/s일 경우부터, 기류감을 느끼기 시작하고 풍속이 1.5m/s일 경우 거의 모든 피험자가 보통이상으로 느끼며 1.9m/s일 경우 기류가 강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기류일 경우 식재지의 기류가 포장지의 기류보다 더 큰 만족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온열 중성점은 25.6℃에서 나타났고 온냉감의 수치로 -0.5~+0.5를 쾌적범위로 할 경우 쾌적범위는 24.7~26.6℃로 나타났다.4. 기상요소와 쾌적감에 미치는 효과의 상관분석결과, 기상요소가 쾌적감에 미치는 효과는 일사량, 풍속, 기온, 습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5. 토지피복현황에 따른 기온과 쾌적감 비교 결과 식재지는 다른 지역에 비해 쾌적감이 현저히 높았으며, 실외의 경우 기상요소인 기온, 일사, 풍속, 습도의 조합에 따라 쾌적감이 달라지기 때문 단순한 기온 및 습도의 조합으로 쾌적감을 나타낼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object of measuring thermal sensation, comfort sensation, airflow sensation, etc. through an experiment with human bodies and indexing human feelings according to land cover type. In the results of analyzing meteorological elements according to land cover type, temperature was lowest in planted areas and highest in paved areas,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was 3.9~4.1℃. Wind velocity was 1m/s or higher in bare grounds, waters and building areas, and less than 1m/s in planted areas, grasslands and paved areas. In the measurement of airflow sensation and airflow according to wind velocity, airflow sensation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wind velocity. That is, some of the subjects began to feel airflow when wind velocity was 0.3m/s, and almost all the subjects felt airflow stronger than usual when wind velocity was 1.5m/s, and they felt that airflow was strong when wind velocity was 1.9m/s. In addition, given the same airflow, airflow in planted areas appeared to be more comfortable than that in paved areas. Thermal neutral temperature was 25.6℃, and when the comfort zone was assumed to be 0.5~+0.5 of thermal sensation, it was 24.7~26.6℃.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meteorological elements and comfort sensation, effect on comfort sensation was high in order of solar radiation, wind velocity,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results of comparing temperature and comfort sensation according to land cover type, comfort sensation was markedly higher in planted areas than in other types of areas, but it has a limitation to represent comfort sensation with the combination of temperature and humidity alone because outdoor comfort sensation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meteorological elements such as temperature, solar radiation, wind velocity and humidit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범위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적요
  Ⅴ. 인용문헌
저자
  • 주창훈(건국대학교 산림과학과) | Joo Chang-Hun
  • 윤용한(건국대학교 산림과학과) | Yoon Yong-Han 교신저자
  • 박봉주(건국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 Park Bong-Ju
  • 김원태(건국대학교 산림과학과) | Kim Won-T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