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방과 후 원예활동이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after School Horticultural Activity on the Social Ability and Emotion of Children from the Low Income Famil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50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방과 후 원예활동이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 A지역아동센터에 다니는 저소득층 남녀 초등학생 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기간은 2006년 12월 8일에서 2007년 2월 16일까지이었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총 17회로 구성되었다. 사회적 능력은 전체 원예활동 전 55.3점에서 원예활동 후 64.4점으로 유의하게(p=.01) 향상되어 원예활동이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적 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HTP 그림 검사에 의한 대상아동 전체의 정서변화에서도 전체 원예활동 전 4.44점이였으나, 원예활동 후 2.22점으로 유의하게(p=.048) 우울과 불안 요소의 항목들이 적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정서 변화의 생리적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피부전기활동 측정결과 아동 D의 경우 원예활동 전에는 피부전도도가 4.615㎲로 나타났으나, 원예활동 후에는 1.778㎲를 나타내었다. 대상아동 G의 경우 원예활동 전에는 피부전도도가 10.907㎲로 나타났으나, 원예활동 후에는 2.181㎲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두 아동 모두 불안, 우울하던 심리적 상태가 원예활동에 의해서 안정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예활동에 의한 대상아동들의 행동변화 관찰결과 대부분의 아동들이 원예활동에 대한 참여도와 호응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다양한 원예활동은 정서적으로 불안한 아동들, 특히 저소득층 아동들의 올바른 정서함양, 사회성 발달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앞으로 아동들을 위한 더욱 다양하고 흥미 있는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개발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after school's horticultural activity to the children 's social ability and emotion in low-income group. The research was targeting on 9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ending at children center in G City and was conducted from 8th December, 2006 to 16th February, 2007.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consists of totally 17 times. Consequently children's social capability in the low-income group improved as a result of horticultural activity and that gives positive effect to the children. After horticultural activity, it found that child D and G their numerical value were low by the galvanic skin response. In case of child D, his skin conductivity was 4.615μS before the horticultural activity, but after the activity it was 1.778μS. And in case of G the skin conductivity was 10.907μS but also after the activity it was 2.181μS. Like this it was proved that both children's psychological insecurity and depression became stable by the horticultural activity. In HTP test before horticultural activity, its numerical value was 4.44 but after HTP it lowered to 2.22 within approximation to 0.05. Most of children they showed an high participation and response to the horticultural activity as a result of observation of their action change. Regarding this result, various horticultural activity is effective to set up the children's right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especially for the children who have psychologically insecure situation in the low-income group. Therefore many interesting and various programs about horticultural activity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provide good physical and mental environment for children after school. Also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should support to manage various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 and local kids center.

목차
ABSTRACT
  Ⅰ. 서언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적요
  Ⅴ. 인용문헌
저자
  • 이순희(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 Soon-Hee Lee
  • 윤숙영(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 Suk-Young Yun
  • 김홍열(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 Hong-Yul Kim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