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일제강점기 함경도의 행정구역 변화와 인구 변동 KCI 등재

Changes in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Population in Hamgyeong-d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4065
  • DOIhttps://doi.org/10.16879/jkca.2014.14.3.0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일제시기 함경도는 ‘군(郡)’의 숫자가 늘어난 유일한 지역이다. 증설된 네 개의 군은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 2개는 1914년부제(府制)의 실시에 따라 부가 분리되면서 나머지 지역이 군이 된 경우이고, 나머지 2개는 도의 군 면적이 넓고 인구도 많아 증설된 경우이다. 후자의 경우 도 내 군들 사이의 균형과 ‘부원(富源)’의 개발 가능성을 고려했던 것 같다. 또 함경도는 다른 지역에 비해 부와 지정면·읍의 증가가 활발히 이뤄졌다. 이는 도시화의 진전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배경은 일본의 군사적 점령,1930년대 이후 ‘북선(北鮮) 개발’이다. 이러한 행정구역의 변화와 서로 호응하면서 함경도의 인구 구성도 변화하였다. 함경도의 산업별 인구 비중을 보면 1920년은 전국과 유사하게 농업이 85% 전후를 차지하는 1차 산업 위주의 지역이었으나, 1940년 농업인구의비중은 50%를 넘지 못했다. 대신 광공업과 어업 인구의 성장, 그에 따른 상업과 교통업 인구의 증가가 눈에 띈다. 함경도의인구 증가는 사회적인 요인이 컸는데, 인구 흡수 요인으로 ‘북선 개발’에 수반한 여러 사업의 진전을 꼽을 수 있다. 이에 한국인뿐만 아니라 중국인, 일본인도 일자리를 찾아 모여들었다.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mgyeong-do (province) was the only place where the numberof “Gun (郡)” (districts) increased. These four newly established districts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wo of them were divided under the prefecture system of 1914 which divided each “Bu (府)” (city) and made the remaining areas “Gun.” The other two were divided due to the large size and population of administrativedistricts in Hamgyeong-do. The latter seemed to consider the balance of the “Gun” within “Do” and the possibility of resource development. In addition, Hamgyeong-do experienced more active increase in “Bu” and“Eup(邑)” (town) than in other places. This means that urbanization took place at a rapid pace as a result ofJapan’s military occupation and the “Development Plan of North Korea” after the 1930s. Changes in the demographics of Hamgyeong-do appeared alongside the changes in its administrative districts. Hamgyeong-do’sindustrial population shows that the province's economy was predominated by the primary industry with 85% of its people in agriculture, which was similar to the national average in 1920. But by 1940, the percentage ofthe population in agriculture decreased and did not even reach 50%. It is worth noting that instead, the numberof people in mining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fishery increased, followed by that in the commerce andtransportation industries. The increased population in Hamgyeong-do was greatly affected by social factors. Improvements in many business projects related to the “Development Plan of North Korea” could be attributedfor the increase in immigrants. Thus, not only Koreans but also Chinese and Japanese came looking for jobs.

저자
  • 정병욱(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인문한국(HK) 교수) | Byungwook J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