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좀개구리밥(Lemna perpusilla Torr.)의 생육에 대한 PAHs와 암모늄의 영향 KCI 등재

Influences of PAHs and Ammonium on Growth of Duckweed (Lemna perpusilla Tor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419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좀개구리밥(Lemna perpusilla J. Torrey)은 오염물질의 독성시험에 사용되어 온 대표적인 부유성 수생식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오염된 공장지대나 농경지에서 식물의 생육에 악영향을 미치는 독성물질인 PAHs(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다환방향족탄화수소)와 암모늄(NH4+)의 식물 독성 평가를 위해 좀개구리밥을 이용하였다. 독성물질인 PAHs와 암모늄이 들어있는 배양액에 좀개구리밥 엽상체를 배양하면서 반응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좀개구리밥의 생장은 PAHs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다르게 반응하였다. PAHs중 fluorene의 처리 때 좀개구밥의 생장이 가장 저해되었으며, fluoranthene과 pyrene은 생장 저해 효과가 적었다. fluoranthene과 pyrene의 경우 30ppm정도의 낮은 농도에서는 좀개구리밥의 생장 저해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식물색소 함량도 또한 처리한 독성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Phenanthrene과 fluorene 처리 시 fluoranthene과 pyrene 처리 때보다 chlorophyll의 함량이 많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항산화 화합물로 잘 알려진 carotenoids의 경우 fluoranthene과 pyrene을 30ppm 이하의 낮은 농도로 처리 시 오히려 함량이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농도의 fluoranthene 또는 pyrene 처리 시 이들 물질이 좀개구리밥의 황산화 작용을 자극하여 황산화 물질인 carotenoids를 많이 만들게 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암모늄은 3mM의 낮은 농도에서도 좀개구리밥 엽상체의 생장에 강한 저해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Duckweed (Lemna perpusilla J. Torrey) is a typical floating aquatic macrophyte that has been used for evaluating phytotoxicity of toxicant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esponses of duckweed to PAHs and ammonium as toxicants that frequently affect the growth of plants in polluted industrial and agricultural areas. As the duckweed is growing in aquatic environment, the PAHs and ammonium were incorporated into nutrient solution and the fronds were cultured hydroponically. Frond growth was responded differentially to the concentration and type of PAHs. The severe inhibition of frond growth was observed in the treatment of fluorene. Fluoranthene and pyrene, however, showed weak inhibition of frond growth. The latter PAHs that showed weak inhibition did not reduced frond number at the low concentration of 30 ppm. Pigment contents were also responded differentially. Phenanthrene and fluorene reduced chlorophyll content more strongly than fluoranthene and pyrene. Carotenoids, well-known antioxidative compound, was relatively increased at the low concentration of PAHs up to 30 ppm by the treatment of fluoranthene and pyrene, suggesting an increased antioxidative activity in fronds. Ammonium treatment showed higher inhibitory effect even low concentration of 3 mM.

저자
  • 박진희(경상대학교 생물학과) | Park, Jin Hee
  • 심상인( 경상대학교 농학과) | 심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