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두루미류의 서식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인위적 요인에 의한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지역은 강원도 철원군의 민간인통제지역이며 2009년부터 2014년까지 매년 1월의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분포를 대상으로 하였다. 인위적 요인인 도로, 거주지 및 군사시설로 부터의 거리에 따른 두루미류의 밀도를 파악하였으며, 비닐하우스의 분포밀도 차이에 따른 두루미류의 서식밀도를 평가하였다. 두루미와 재두루미는 동일지점에서 서식밀도 상관관계가 있었기 때문에 인위적 요인에 대해 유사한 민감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와 가까운 곳은 두루미와 재두루미 모두 낮은 서식밀도를 보였으며, 2.5km 구간까지 거리가 멀어질수록 밀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군사시설 및 통행량이 높은 도로와 유사한 양상이었으며, 군사시설로 부터는 약 0.8km까지, 통행량이 높은 도로는 2km 구간까지 요인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서식밀도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인가지역과 군사시설 및 통행량이 높은 도로가 두루미류의 서식밀도에 일정범위까지 악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하였다. 통행량이 적은 도로와 인접한 곳은 간헐적 간섭으로 먹이자원이 보전되어 있어 밀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닐하우스의 밀도가 낮은 곳에서는 밀도가 증가할수록 두루미류의 서식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비닐하우스의 밀도가 40개/km2 미만인 경우에서 나타났다. 하지만 비닐하우스의 밀도가 40개/km2 이상인 지역에서는 뚜렸한 밀도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anthropogenic factors affecting distribution of the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wintering in Cheorwon, Korea. Especially,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impact power and its range of the anthropogenic effect to the feeding flock density in cranes due to the paved road, residential area, military facilities and greenhouse density. The Red-crowned Crane and the White-naped Crane showed the similar preference and sensitivity against anthropogenic factors, because correlation of feeding flock density of the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was similar in the same site. The feeding flock density of the cranes near the residential area was lower than that of area far from the area, and tended to increase within 2.5 km distance. The increasing tendencies of feeding flock density from military facilities and high traffic volume road were similar, but the density in military facilities increased within 0.8 km, and the density from high traffic volume road increased within 2 km. This results suggested that military facilities and the road with high traffic volume made significant influence on foraging densities to the certain range. As the distance from the road with low traffic volume increased, feeding flock density tended to decrease. The area near the low traffic volume road had high feeding flock density because remaining rice grains were preserved by intermittent disturbances in that area. If the density of greenhouse is lower than 40/km2, feeding flock density in the low greenhouses density area was higher than high greenhouses density area.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eeding flock density if the density of the green houses is higher than 40/km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