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가축분뇨 시용이 옥수수와 수수의 생산성과 한우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Animal Manure on Productivity of Corn and Forage Sorghum and Carrying Capacity for Livestock of Corn and Forage Sorghu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441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본 연구는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고, 안전한 축산물의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조사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대표적인 하계작물인 옥수수와 사초용 수수에 액상 우분뇨와 발효우분을 시용하여 작물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고, 토양의 지력 향상과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해 가축분뇨의 적정 시용수준을 구명하며 단위면적당 한우의 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옥수수와 사초용 수수의 연간 건물수량과 가소화양분 수량은 화학비료 NPK구가 가장 높았으나(p<0.05), 가축분뇨 시용구간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고, 가축분뇨 시용구간은 발효우분보다 액상우분뇨가 그리고 100% 시용구 보다는 150% 시용구가 높은 경향이었다. 옥수수의 RFV는 액상우분뇨 100% 시용구가 화학비료 NPK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5), 사초용수수의 RFV는 가축분뇨 시용구 중 발효우분 100%와 액상우분뇨 150%구가 높았다(p<0.05).
한우 사육능력은 옥수수의 경우 화학비료 NPK구가 평균6.26두/ha를 사육할 수 있었으나 발효우분 150%, 액상우분뇨100~150% 수준의 평균 5.24~5.97두와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초용 수수에서도 화학비료 NPK구가 평균4.08두/ha로 가장 높았으나(p<0.05), 발효우분 150%, 액상우분뇨 100%와 150% 시용구의 평균 2.63~3.38두와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사료작물 재배에 화학비료 대신 가축분뇨 만으로도 사료작물의 건물 및 가소화양분수량을 향상시킬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간 한우 사육능력도 증대하였으므로, 가축분뇨 재활용을 통한 조사료의 생산은 환경오염 감소와 자원순환형 친환경 농산물 생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appropriate forage crops, proper application levels of livestock manure, and carrying capacity per unit area for livestock. In order to produce organic forages by utilizing livestock manure, corn and sorghum × sorghum hybrid were cultivated with livestock manure application, and compared with those of chemical fertilizer treated. For both corns and sorghum × sorghum hybrids, no fertilizer plots had significantly (p < 0.05) lower annual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yields than those of other plots, whereas the N + P + K plots ranked the highest yields, followed by 150% cattle manure plots and 100% cattle manure plots. Dry matter, CP and TDN yields of cattle manure plots were significantly (p < 0.05) higher than those of no fertilizer and P + K plots. In applying cattle manure, the yields of cattle slurry plots tended to be a little higher than those of composted cattle manure plots. Assuming that corns and sorghum × sorghum hybrids produced from this trial were fed at 70% level to 450 kg of Hanwoo heifer with 400 g of average daily gain, livestock carrying capacity (head/year/ha) ranked the highest in N + P + K plots of the case of corns (mean 6.3 heads), followed by 150% cattle slurry plots (mean 6.0 heads), 150% composted cattle manure plots (mean 5.3 heads), 100% cattle slurry plots (mean 5.2 heads), 100% composted cattle manure plots (mean 4.3 heads), P + K plots (mean 3.1 heads), and no fertilizer plots (mean 2.8 heads). Meanwhile, in case of sorghum × sorghum hybrids, N+P+K plots (mean 4.1 heads) ranked the highest carrying capacity, followed by 100~150% cattle slurry plots (mean 2.6 ~ 3.4 heads), 150% composted cattle manure plots (mean 3.1 heads), 100% composted cattle manure plots (mean 2.4 heads), P+K plots (mean 2.1 heads), and no fertilizer plots (mean 1.7 heads).

저자
  • 최광원(대구대학교) | Kwang-Won Choi
  • 조익환(대구대학교) | Ik-Hwan Jo Corresponding author
  • 황보순(대구대학교) | Soon Hwang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