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외국 보유 한반도 원산 식물유전자원의 국내 재도입 현황 및 의의 KCI 등재

Introduction and Significance on Reintroduction of Korean Native Plant Genetic Resources from Foreign Countr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441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국제적으로 유전자원의 국가주권 주장이 강화되고 구체화되고 있어 우리나라 고유의 유전자원을 발굴하여 지속적으로 보존하고 활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그동안 국외로 유출되어 외국국가에서 보존하고 있던 한반도 원산 식물유전자원의 국내 재도입 배경과 추진경과,재도입 자원 내역 및 의의 등을 살펴보고, 이들 자원의 안전한 보존과 활용 방안 및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검토한 바는 다음과 같다.
1. 유전자원의 중요성에 대한 개념이 희박하였던 일제강점기, 정부수립전 및 6·25동란 시기 등에 다수의 국내 유전자원이 외국으로 유출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어서, 이들 자원 중에서 국내 미보유 자원에 대하여 국내로 재도입을 추진하여고유자원에 대한 자원주권을 강화하고 지속적으로 보존 활용하는 일은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2. 미국으로부터는 2007년 식물유전자원 30작물 1,679자원을 공식적으로 재도입하였으며, 콩, 돌콩, 팥, 녹두 등의 지역수집종 및 재래종 자원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3. 일본으로부터는 2008년 32개 작물 1,546자원을 재도입하였으며, 1930~40년대의 보리, 콩, 팥, 참깨, 조 등의 재래종자원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4. 독일로부터는 2009년 118작물 901자원에 대하여 재도입하였으며, 보리, 강낭콩, 밀, 팥, 녹두 등의 북한지역 수집종및 재래종 자원들이 다수를 차지한다. 러시아에서는 1996년부터 2008년까지 26작물 296자원을 재도입하였다.
5. 국제적으로 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공유에 대하여 자원주권을 강화하는 시점에 주요 국가인 미국, 일본, 독일, 러시아로부터 우리 고유의 한반도 원산 자원을 공식적으로 재도입한 것은 중요한 의의를 갖는 것으로 금후 재도입한 자원의 안전한 보존과 적극적인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6. 외국으로 유출된 한반도 원산 유전자원에 대하여 지금까지 재도입한 상기의 국가들을 제외하면 기타 국가들이 보유한자원은 많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지속적인 정보 확보 등의 노력이 필요하고, 무엇보다 국내 고유자원의 무단 해외유출을 방지하여야 하며, 국내자원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안전하게 보존 활용하는 정책지원과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s the sovereignty over the genetic resources has been strengthened and gained momentum internationally, it is a critical juncture when we collect and conserve plant genetic resources originated from Korea. Therefore, the present paper reviewed the status and details of reintroduction of plant genetic resources originated in Korean Peninsula conserved in foreign countries and formulate the strategies for the future direction towards the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tilization of these plant genetic resources. During the Japanese regime around Korea's pre-1948 histories coincided during Korean war, it has not realize the vital importance of the genetic resources. There were outflows of large number of Korea-originated genetic resources into the developed countries. Thus, their reintroduction has important relevance and significance, since those outflown landraces are collected from all over the Korean Peninsular including the North Korea and these outflown accessions were not yet conserved in RDAgenebank. A total of 4,422 accessions including 1,679 accessions with 30 crops from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2007, 1,546 accessions with 32 crops from Japan in 2008, 901 accessions with 118 crops from Germany in 2009 and 296 accessions with 26 crops from Russia between 1996 to 2009 were regained officially. These accessions are crops including barley, soybean, wild soybean, adzuki bean, mung-bean, sesame, millet and etc. It is believed that most of these accessions outflown to alien countries have been returned. However persistent efforts are needed to get additional information on Korea-originated germplasm kept in other countries. Also, adequate supporting policies are needed for the prevention of outflow genetic resources which are outflown abroad without permission. This continuous policy will certainly support the potential researches on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Korea-specific genetic resources in the near future.

저자
  • 김창영(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Chang-Yung Kime Corresponding author
  • 조규택(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Gyu-Taek Cho Corresponding author
  • 이정란(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Jeongran Lee
  • 성정숙(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Jung-sook Sung
  • 나영왕(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 | Young-wang Na
  • 윤문섭(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 | Mun-Sup Yoon
  • 백형진(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Hyung-Jin Baek
  • 고호철(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Ho-Cheol Ko
  • 조양희(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 Yang-Hee 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