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벼 육성연대에 따른 주요 품종의 수량 및 미질관련 특성의 품종변이 KCI 등재

Varietal Variation of Grain Yiel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Related to Grain Quality of the Major Rice Varieties by the Released Yea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445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육성년대 및 생태형에 따른 품종군별 생육형질과 수량관련 형질, 품질관련형질에 대한 특성의 품종변이와 상관을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출수일수 및 간장은 2000년대 이후에 육성보급 품종군은 1970년대 이전에 육성 보급된 품종군보다 유의성 있게 단축되었고 통일형 품종군은 육성 년대 어떤 품종군의 일반형 품종군보다 출수일수 및 간장이 짧았고 단축되었다.
2. 2000년이후 최근에 육성 보급한 품종일수록 수량이 증가했으며 이는 수수 및 수당립수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3. 최근 육성한 품종일수록 현미 길이는 짧아졌고 폭이 좁은 단원립의 형질 특성을 가졌으며 단백질함량도 낮아졌으며 품질평가치의 개선이 뚜렷하였다.
4. 육성보급 년대에 따른 품종군별 수량에 미치는 영향이 수량구성요소 형질에 따라서 상이하였다.
5. 육성년도에 따른 모든 일반형 품종군과 통일형 품종군에서 품질평가치는 단백질함량 및 아밀로스함량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get the basic breeding informations regarding varietal variation and correlation of the growth characters, grain yield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related to grain quality of the major rice varieties by the released year and ecological type. The days from seeding to heading and culm length of the varietal group released after 2000 eras were shorter than those of the varietal group released before 1970 eras. The varieties released after 2000 eras showed higher grain yield due to the increments of the numbers of panicles per hill and spikelets per panicle. The varieties released by recently showed shorter and thiner of the length and width for the brown rice. The protein content and grain quality evaluation value of the varietal group released recently were so much improved compared to the varietal groups released before 2000. The yield component related characters affects to the grain yield by the varietal groups classified by the released year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s of the yield components. The correlation between grain quality evaluation value and protein content, amylose content showed by negatively significant.

저자
  • 곽태순(상지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Tae Soon Kwa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