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zerbaijan’s Agricultural Situation and Strategy for WTO Accession KCI 등재

아제르바이잔의 농업상황과 WTO 가입을 위한 전략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454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본 연구는 1997년부터 WTO 가입을 추진 중인 아제르바이잔 농업현황과 농업정책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WTO 가입 협상전략 및 향후 지속적인 농업농촌 발전을 위한 대응전략을 탐구한다. 주요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아제르바이잔에서 농업은 전체 GDP의 5.7%, 고용인구의 38%를 차지하고 있으며, 석유와 건설부문에 이어 제 3위의 매우 중요한 산업분야이다. 아제르바이잔의 농업은 경제성장, 산업다변화, 빈곤경감, 고용창출에 큰 기여를 해오고 있다. 즉 농업분야는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국가 정치 및 사회 안정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WTO 가입은 향후 아제르바이잔 농업에 기회요인이자 동시에 큰 도전으로 다가설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WTO 가입협상에서 보다 유리한 조건을 확보하기 위한 협상전략과 함께 WTO 가입 이후 농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효과적 발전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WTO 가입협상 관련하여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개도국 지위의 확보이며, 이를 통해 농가소득과 농업성장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민감품목에 대한 점진적이고 신축적인 시장개방이 되도록 시장접근, 국내보조 분야에서 효과적인 가입협상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아제르바이잔은 WTO 가입이후에 대비하여 밀을 비롯한 기초식량의 생산성 증대, 고부가가치 생산 및 수출의 확대, 농촌지역의 활력유지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종합적으로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paper examines the agricultural situation of Azerbaijan and provides some strategies for successful accession to the WTO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its agricultural sector after the WTO accession. Azerbaijan has been negotiating accession to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for fourteen years since Azerbaijan applied to WTO for admission in June 1997. However, many experts guess that Azerbaijan’s accession to WTO will probably require a long time. It is mainly because Azerbaijan’s legislation and system do not meet the WTO standards and accession conditions in many areas. Azerbaijan’s government should make serious efforts towards fulfilling the WTO accession conditions if Azerbaijan government wants to join in the WTO as soon as possible. In preparation of WTO accession, Azerbaijan government should work on the action pla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its agriculture as follows: 1) Enhancing the capacity to produce its staple crop, 2) Promotion of value-added production and export, and 3) Enhancing the viability of rural areas. These seem to be three main goals that the Azerbaijan government should focus on in agricultural sector.

저자
  • Jeong-Bin Im(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Rural Develop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 임정빈 Corresponding author
  • Hong-Sok(Brian) Kim(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Rural Develop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홍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