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포도나무의 내한성 관련 SCAR 분자표지 개발 KCI 등재

Development of SCAR Markers Linked to Cold Resistance for Marker-assisted Selection of Grapevin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482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포도 신품종 육성에서 내한성 계통의 조기 선발을 위하여, 다양한 품종을 대상으로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Campbell Early’x ‘Kaiji’, ‘Golden Muscat’x‘Tamnara’,‘Campbell Early’x‘Neo Muscat’와‘Alden’x‘Kaiji’의 포도교배조합 실생계통을 이용하여 내한성 관련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SCAR) 분자표지를 개발하였다. 400여개의 primer를 사용하여 bulk집단에서의 RAPD 분석을 통해서 6개의 UBC random primer를 최종적으로 선발하였고, RAPD 산물을 클로닝한 후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6개의 SCAR primer (UBC123-428, UBC196-353, UBC221-503, UBC317-800, UBC342-500, UBC344-451)를 제작하고 교배조합 실생에 재검정한 결과 내한성과 관련한 특이밴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포도나무의 내한성과 관련한 특이적인 밴드출현양상은 수피의 탄수화물함량, 전해질전도도, 포장에서의 신초생존율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SCAR marker는 포도의 염색체상에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주변에는 주로 cytochrome P450, glutathione S-transferase, leucine-rich repeat, pleiotropic drug resistance 12, ribosomal protein 등의 유전자가 분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포도 내한성 관련 SCAR marker는 내한성 포도 품종의 조기선발과 육종효율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2.1 시험재료
  2.2 DNA 추출 및 정량
  2.3 RAPD primer 분석
  2.4 내한성 특이 밴드의 클로닝 및 SCAR marker전환
  2.5 수피 탄수화물 함량 및 전기전도도 측정
 Ⅲ. 결과 및 고찰
 Ⅳ. 감사의 글
 » Literature cited
저자
  • 김선애(영남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Seon Ae Kim
  • 안순영(영남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Soon Young Ahn
  • 김진국(경상대학교 원예학과) | Jin Gook Kim
  • 노정호(국립원예특작과학원) | Jung Ho Noh
  • 윤해근(영남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Hae Keun Yu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