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연환경이 인공수정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the Effect of Natural Environments on Artificial Insemination Conception Rat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484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논문은 자연환경의 변화가 젖소의 인공수정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종속변수로는 32개 농가의 인공수정자료를 이용하여 60개월(2008년 1월~2012년 12월)의 월별수태율을 구해 패널 자료로 구성하여 이용하였다. 젖소의 인공수정 수태율에 미치는 주요한 설명변수로 자연환경 변수로는 기온, 강수량, 그리고 풍속을 이용하였고, 월별 효과를 제어하기 위해 월별더미변수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자연환경 설명변수 중 기온 변수가 가장 유의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기온이 1℃ 상승하면 수태율은 약 –0.6% 하락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더미변수를 활용한 추정에서는 1월, 4월, 6월, 7월, 8월의 더미변수가 유의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추정치를 보면 평균 수태율은 1월의 경우 약 44%, 4월의 경우 약 33%, 6월은 약 32%, 7월은 약 31%, 8월은 약 27%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태율은 기온이 높아지는 여름이 될수록 낮아지며 겨울의 경우 수태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changes in natural environments on the artificial insemination conception rate. For the analysis we set panel data that is comprised of 32 farms and 60 months. For the dependent variable, we calculate artificial insemination conception rate from the 32 farms. For the explanatory variables, we consider three major natural environmental variables: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wind speed. Furthermore, we use monthly dummy variables to control the effects of monthly fixed effects. Results show that temperature variable is highly significant variable. It is estimated that one celsius degree increase leads to -0.6% decrease in artificial insemination conception rate. Among monthly variables, January, April, June, July, and August are highly significant. Average conception rates are 44%, 33%, 32%, and 27% for January, April, June, July, and August, respectively. Conception rate is analyzed to be decreased in Summer season and to be increased in Winter season.

목차
Ⅰ. 서론
 Ⅱ. 자료 및 분석 방법
  2.1 분석 모형
  2.2 사용자료
 Ⅲ. 분석 결과
  3.1 자연환경이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분석
  3.2 더미 변수를 활용한 수태율 분석
 Ⅳ. 결론
 Ⅴ. 감사의 글
 » Literature cited
저자
  • 전상곤(경상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Sang-Gon Jeon Corresponding author
  • 최진용(경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대학원) | Jin-Yong Choe
  • 김진욱(경상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in-Wook Kim
  • 이준희(경상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un-Hee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