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쪽 백두산 지역에서 산출되는 흑요석과 부산 가덕도 유적지에서 출토된 흑요석제 석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결정을 대상으로 그 형태적 분류 및 화학조성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백두산 흑요석은 육안 및 경하관찰에 의한 분류결과 세 개의 그룹으로 구분되며, 형태적으로는 트리카이트-아시큘러와 트리카이트-에스테로이달의 미세결정이 우세하게 분포한다. 한편 가덕도 흑요석은 분류결과 5개의 그룹으로 구분되며, 아시큘러, 마가라이트, 래쓰결정, 에스테로이달 등의 다양한 미세결정이 분포한다. 백두산 흑요석 내의 규산염 미세결정은 대부분 헤덴버자이트 내지 오자이트의 조성을 가지는 휘석으로 나타났으나, 가덕도 흑요석 내의 규산염 미세결정은 대부분이 애나이트 조성에 가까운 흑운모이며 일부 마가라이트 형태의 미세결정은 훼로실라이트 조성의 휘석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백두산 흑요석과 가덕도 흑요석은 미세결정의 형태, 광물 종류 및 그 화학성분 등에서 상이함을 알 수 있다. 가덕도 유적지에서 출토된 흑요석제 석기는 백두산지역 흑요석과는 성인적인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We conducted investigations in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stics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microlites included in the obsidians from the North Korean side Baekdusan (NK) and in the obsidian artefacts from the Busan Gadeokdo prehistoric site (BG). The morphology of the microlites from the NK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trichite-acicular and trichite-asteroidal types are predominant. On the other hand the microlites from the BG show various morphological features such as acicular, margarite, lath, and asteroidal types. Silicate microlites from the NK are mostly of Ca-pyroxene compositions (hedenbergite to augite), whereas those from the BG are mostly of biotite (annite) with small amount of clinopyroxene (ferrosilite). It is well understood that the microlites from the NK are different from those from the BG in terms of the morphology, mineral content and mineral composition. Thus the obsidian aretefacts from the Busan Gadeokdo prehistoric site seem to have no genetical relationship to the obsidians from the Baekdus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