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내당성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SS89에 의한 늦수확 후지 사과의 사과주 발효 특성 KCI 등재 SCOPUS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cider from late harvest Fuji apples by a sugar tolerant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SS89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510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초록

정상수확 후지와 늦수확 후지 사과를 속성 발효 효모인 S. cerevisiae SS89로 발효하면서 발효 특성을 조사하는 한편 사과주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정상수확 및 늦수확 후지사과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각각 13.0, 13.6˚Brix로서 늦수확 후지 사과가 다소 높았으나 총산의 함량과 경도는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과주의 발효 중 pH와 총산 함량의 변화는 거의 유사하였으나 가용성 고형분의 감소, 알코올 함량 및 효모 생균수의 증가에 있어서 늦수확 사과의 경우가 빠르게 나타났다. 그러나 발효 말기 잔존 가용성 고형분 함량과 최종 알코올의 농도는 수확기와 무관하게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늦수확 사과주의 경우 정상수확 사과주보다 다소 낮기는 하였으나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1.27 mg/mL, DPPH 라디칼 소거능이 89.5%로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malic acid 함량과 hue 값, 명도 및 황색도 등이 다소 높았으나 아세트알데히드, 에틸아세테이트, 고급알코올의 함량 등은 매우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 늦수확 사과주는 향에 있어서는 유사한 값을, 색에 있어서는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맛에 있어서 정상수확 사과주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Normal- and late-harvested Fuji apples were fermented using the rapid-fermenting yeast strain Saccharomyces cerevisiae SS89. The late-harvest apples showed a slightly higher soluble-solid content with a lower level of total-acid and moisture (p<0.05) contents as well as hardness (p<0.05) than the normal-harvest apples. During the fermentation, the apples had similar changes in the pH and total-acid content regardless of the harvest time, but the increases in the alcohol content and yeast viable count with the decrease of the soluble-solid content were more rapid in the late-harvest apples than in the normal-harvest apple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fermentation, the soluble-solid and alcohol contents became very similar. The late-harvest cider showed a high total phenolic-compound content and a high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lthough these were slightly lower than those of the normal-harvest cider. It also showed a higher malic-acid content and higher hue color (p<0.05), Hunter's L, and b (p<0.05) values than the normal-harvest cider.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late-harvest cider obtained a higher score in taste and a lower score in color compared to the normal-harvest cider.

저자
  • 김동현(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Kim, Dong-Hyun
  • 이새벽(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이새벽
  • 박희동(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경북대학교 발효생물공학연구소) | 박희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