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화로 인한 급격한 도시화와 인구의 증가는 필연적으로 도시의 확장을 초래하였으며 이는 자연성의 감소로 이어져 생태계 선순환의 가장 큰 위협요소로 다가오고 있다. 이러한 생태계의 위기는 인류의 위기를 동반할 것이라는 공통된 인식의 확장으로 세계 각국은 ESI, EPI, SDI 등 범 국가적인 환경지표 이외에 한 국가 단위나 지방자치단체 단위, 또는 개인단위의 환경소비량을 측정하여 각 지역 간의 비교, 또는 개인의 적정한 소비수준을 지표로서 나타내는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경상북도지역 23개 지방자치단체별로 환경용량을 추정하고자 수행 되었다. EF지수의 추정 결과 경상북도지역민 1인당 생활에 필요한 EF지수값은 0.9534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생태수용력을 고려한 생태적자 분석에서 25.3%의 적자를 보이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경상북도지역 지방자치단체별 EF지수분석에서 EF지수가 가장 높은 지역은 영덕군이며 가장 낮은 지역은 울릉군이었다. 하지만 각 지역의 생태수용력을 고려한 생태적자분석에서 생태적자가 가장 심한 지역은 구미시이며 생태수용력이 가장 큰 지역은 영양군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로 추정된 환경용량은 각 경상북도 지방자치단체별 생태수용력과 생태적자 규모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추정된 각 지방자치단체별 적정 환경용량은 환경의 보존과 적절한 개발의 규모를 제시해 주고 더 나아가서는 개발시설, 또는 보존지역의 위치를 선정할 경우 각 지방자치 단체 소속 구성원들을 설득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rapid urbanization and increase in population due to industrialization have led to the extension of cities and the reduction in naturality as a necessity. Now, it is the biggest threat to virtuous circle of ecosystem. With the expansion of common recognition that this ecological crisis would be accompanied by the crisis of mankind, many countries all around the world are conducting researches to indicate the optimum consumption level of individual as an index in addition to cross-national environmental indicators such as ESI, EPI and SDI, by measuring environmental consumption of state, local government or individual, and comparing each region.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environmental capacity of 23 local government in Gyeongsangbuk-do. The result of EF estimation showed that EF value necessary for life per head in Gyeongsangbuk-do was 0.9534, and it showed an ecological deficit of 25.3 percent when analyzing it in consideration of the ecological capacity. Also, among the local governments in Gyeongsangbuk-do, Youngduk-gun displayed the highest EF, and Ulleung-gun displayed the lowest EF. But when analyzing the ecological deficit in consideration of the ecological capacity of each region, Gumi-city showed the greatest ecological deficit, and Youngyang-gun showed the biggest ecological capacity. The environmental capacity estimated in this study is to digitize the ecological capacity and ecological deficit of each local government in Gyeongsangbuk-do. The estimated optimum environmental capacity of each local government suggests the scale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proper development and furthermore, could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persuading members of each local government when selecting a location of development facility or preservation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