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韩国教育用基础汉字的部件分析 KCI 등재

An analysis of the Component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Education in Korea

한국교육용기출한자적부건분석

  • 언어CHI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51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한자는 형 음 의의 세가지 요소로 구성되어있다. 그중 자형은 한자의 본체이다. 그러므로 자형을 분석할 때 먼저 한자의 자형구조를 파악해야만 한다. 필획, 부건, 정자 세부분으로 구성되어있는 한자는 구조를 분석할 때 가장 핵심적인 것이 부건이다. 그러므로 한자의 부건을 분석할 때 자형구조를 인식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중의 하나이다. 허신의 육서법이 세상에 나온이후 줄곧 한자의 구조를 분석하는 것으로 사용되었다. 현대에 와서 많은 학자들이 육서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많은 한자구조방법론을 내놓았다. 현재 한자의 형체구조이론중 가장 대표성을 지닌 세 가지는 육서와 구석규의 삼서설과 왕녕의 한자구형학설이다. 본 논문은 한자구형학 이론을 이용하여 한국의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의 부건을 분석하고자 한다. 부건분석의 결과로 아래와 같은 결과를 도출해내었다. 부건분석후 表意, 標示, 表形, 示音, 記號의 다섯 가지 부건을 도출해냈다. 1차 부건 분해 결과로 중학교 교육용 한자는 직접부건 489개, 고등학교교육용기초한자 554개를 분석했다. 그중 중복된 부건은 모두 291개로 1800자 교육용기초한자의 직접부건은 모두 752개이다. 중학교 교육용 기초한자의 기초부건은 335개이고 고등학교 교육용 기초한자의 기초부건은 356개로 그중 중복되는 기초구건은 228개이므로,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의 기초부건은 모두 463개이다. 한국 교육용 기초한자의 구형모델은 모두 7개로 모든 기능영합성자, 會義 합성자, 音義합성자 ,標義합성자, 形義합성자, 義記합성자, 聲記합성자이다. 구형의 이치적근거를 보유하고 있는 상황은 중학교 교육용 기초한자는 87.33%, 고등학교 교육용 기초한자는 89.1%로 평균수치는 88.22%이다. 교육용 기초한자의 분석결과는 중국의 상용한자와 비교하여, 새로운 한자교육 방법론의 인식은 물론 중국어와 한자의 학습자에게 현대한자의 새로운 한자 학습 방법론을 익히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한국의 한자규범화 및 교육용 기초한자 선정에도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component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chosen for secondary education by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In teaching Chinese characters, it is essential and effective to help students discern and recognize the component elements of each
character and how they are structured. Drawing upon Wangning’s theory of character structure and shape among well-known theories of Chinese character construction including Xushin’s “liushufa” and Qiuxiqui’s “sanshushuo,” this study analyzes the components of the 1,800 Chinese characters recommended to be taught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Korea.
The analysis finds out that there are five major categories of component, including 表義, 標示, 表形, 示音, 記號(biaoyi, biaoshi, biaoxing, shiyin, jihao). More specifically, the first analysis finds 489 direct component parts in the 900 characters for middle school education, and 554 direct component parts in the 900 characters for high school education. Since there are 291 component parts that appear in the list of characters for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concludes that there are a total of 752 direct component parts in the 1,800 characters designated for secondary education in Korea. The study also finds out that there are 335 basic component parts in the list of character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356 basic component parts in the list for high school students. In the entire list of characters for secondary education, there are a total of 463 basic component parts, which include 229 basic component parts that appear in both lists. It is also found out that there are 7 types of construction model(构形模式) in the list for secondary education, which includes “全功能零合成字, 會義合成字, 音義合成字, 標義合成字, 形義合成字, 義記合成字, 聲記合成字” (Quangongnenglinghechengzi, yinyihechengzi, biaoyihechengzi, xingyihechengzi, yijihechengzi, shengjihechengzi). 87.33% of the listed characters for middle school and 89.1% of the list for high school can be recognized in terms of character construction, averaging out at 88.22%.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f productively compared with the similar case in China for reference, will help facilitate more effective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nd design better policies for standardizing and selecting essential Chinese characters for secondary education in Korea.

목차
Ⅰ. 绪论
 Ⅱ.汉字教学方法论與部件分析法
 Ⅲ. 教育用基础汉字的部件分析
  1.教育用基础汉字部件分析
  2. 教育用基础汉字分析的结果
 Ⅳ. 结论
 Ⅴ.參考文獻
저자
  • 홍영희(강릉원주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 Hong, Young-h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