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出土与传世『论语』 异文及相关问题研究 -以平壤贞柏洞出土竹简『论语』 为考查范围- KCI 등재

The Study of Variations and Related Issues in Unearthed and Handed-down Document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Within the scope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written on Bamboo Slips Excavated from Jongbaek-dong, Pyongyang-

출토여전세『론어』 이문급상관문제연구 -이평양정백동출토죽간『론어』 위고사범위-

  • 언어CHI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52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논어』는 유가 경전 문헌 중 하나이며, 현재의 『논어』는 전래되어 온 것과 출토된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문은 평양 정백동 364호 고분에서 출토된 거의 완전한 형태인 39조각의 『논어』를 연구 범위로 하여, 출토된 『논어』와 전래된 『논어』의 경문 상의 차이 현상을 비교하였다. 서로 다른 글자가 쓰여진 현상은 동원통용자나 동음차용자, 쓰기 중에 일어난 와자(訛字), 이체자, 서로 바꾸어 쓸 수 있는 동의사와 자구의 증감 등 여러 현상을 포함하고 있다. 『정주한묘죽간(定州漢墓竹簡) 논어』와 서로 다른 글자를 비교 한 이후에 이 두 다른 지역에서 출토된 『논어』의 수록 자형 상의 차이에 대해 논의하였다. 평양 정백동에서 출토된 죽간 『논어』와 정주 한묘 출토 죽간 『논어』는 시대적으로 비교적 가까우나, 그 글자 상에 있어 완전히 일치하지는 차이를 보이고 있어, 아마도 서로 다른 경로로 전래되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본문은 출토와 전래된 『논어』에서 서로 다른 글자가 발생하게 되는 여러 원인을 분석하였다. 현재, 동아시아 고등교육 교재 중, 예를 들어 한국의 한문교과서서에서도 『논어』는 중요한 교육 내용이기에 『논어』에 대한 언어문자적 연구는 세계 한자한문교육에 도움이 되리라 기대
한다.

The extant version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one of the Confucian classics, include both documents handed down from ancient times and those unearthed. This paper takes the relatively complete vers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written on the 39 bamboo slips excavated from ancient tomb No.364 of Jongbaek-dong in Pyongyang as research scope and compares the variations seen in unearthed vers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those in the handed-down versions. The variations specifically analyzed in this paper include the following ones: interchangeable characters with the same origin, phonetic loan characters, mistaken characters resulting from poor writing, variant forms of characters, interchangeable synonyms, as well as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sentences, etc. By comparing with the Analects of Confucius written on the bamboo slips excavated from Han Tomb of Dingzhou, the paper also illustrat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variations seen in these two unearthed versions of Analects excavated from different places. Although the Analects of Confucius written on the bamboo slips unearthed from Jongbaek-dong, Pyongyang and those from Dingzhou date back to almost the same ag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sets of materials are found by comparing the variations seen in them, and these differences may have resulted from two different editions. Furthermore, several causes of variations are analyzed in this paper. Nowadays, the Analects of Confucius is regarded as an important part of teaching content in the textbooks of higher education in East Asia, like Hanmun in South Korea. Studies on the expressions and character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are of great benefit to teaching Chinese language and characters to the world.

목차
Ⅰ. 引言
 Ⅱ. 贞柏洞出土竹简论语 与今本论语 异文比较
 Ⅲ. 相关问题探讨
 Ⅳ. 结语
저자
  • 罗卫东(北京语言大学汉字研究所) | Luo Weid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