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천연기념물 한란 보호구역의 개체군 구조 및 미세 서식처 선호성 KCI 등재

Population Structure and Fine-scale Habitat Affinity of Cymbidium kanran Protected Area as a Natural Monu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619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멸종위기종이며 식물지리학적으로 중요 종임에도 불 구하고, 천연기념물 제191호 한란의 개체군 생태에 관 한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바 없다. 본 연구는 2013년 10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제주특별자치도 서 귀포시 상효동 돈내코 계곡과 접한 한란 자생지의 환경 개체군 구조 및 미세 석시처 선호성을 분석하였다. 조사 지역 (1.25 ha)에서 총 1,237 (989.6개체 ha-1)개체의 한 란을 관찰하였으며, 위인경 (pseudobulb)은 모두 4,341 개, 그리고 17개체 (1.4%)에서 개화를 확인하였다. 전체 개체 중 60.9%에서 잎마름 및 반점 등의 병징이 관찰 되었다. 엽면적의 경우 전체적으로 소형 개체가 가장 많 고, 준중형, 중형, 준대형 및 대형의 순으로 많은 역-J자 형태로 나타났다. 한란의 크기 (위인경 수 rs=-0.159, 잎 수 rs=-0.148, 그리고 엽면적 rs=-0.114)는 토양온 도와 약하지만 유의한(p⁄0.0001) 음의상관을 나타내었 다. 한란은 거의 모든 개체 (95.4%)가 구실잣밤나무 아 래에서 자라고 있었으며, 공간적으로 모여서 자라는 특 성을 나타내었다. 연구 지역에 나타난 한란 개체군 특성 은 종의 서식처 선호성과 자생지의 천이 진행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란 자생지 모니터 링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개체군 특성에 기초한 보전방 안을 논의 하였다.

There are no population ecological research on the natural monument (No. 191) Jeju Cymbidium kanran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opulation structure and fine-scale habitat affinity of C. kanran in Sanghyo-dong, Jejudo Island from Oct. 2013 to Feb. 2014. We observed total of 1,237 individuals (4,341 pseudobulbs) of C. kanran (989.6 population ha-1) within (1.25 ha) and only 17 (1.4%) individuals were inflorescent. In 60.9% of the entire populations, disease symptoms such as spots and blight leaves were observed. C. kanran populaton exhibited reverse-J shaped size distribution based on leaf area classes as individual size parameter. The three size related attributes of C. kanran (no. of pseudobulb rs=-0.159, no. of leaves rs=-0.148 and leaf arera rs=-0.114) and soil temperature revealed a negative relationship (p⁄ 0.0001). Most of C. kanran (95.4%) were grown under Castamopsis cuspidata and spatially, C. kanran were strongly clumped at all distances.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C. kanran in the study area were likely originated from species habitat affinity and successional environment. Through this study, base line data for C. kanran’s habitat monitoring was established and conservation measures based on population characteristics were discussed.

저자
  • 신재권(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Shin, Jae-Kwon
  • 구본열(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Bon-Youl Koo
  • 김한결(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Han-Gyeoul Kim
  • 권혜진(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He-Jin Kwon
  • 손성원(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Sung-Won Son
  • 이종석(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Jong-Seok Lee
  • 조현제(한국산림생태연구소) | Hyun-Je Cho
  • 배관호(국립경북대학교 생태환경시스템학부) | Kwan-Ho Bae
  • 조용찬(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Young-Chan Ch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