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스탠다드 국화 ‘신마’의 수확 후 저장온도와 기간에 따른 절화 품질과 수명 KCI 등재

Effects of Postharvest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on Vase Life and Quality of Cut Flower in Standard Chrysanthemum ‘Jinb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634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스탠다드 국화 ‘신마’의 절화 품질과 수명에 미치는 수 확 후 저장 온도와 기간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절화 국 화는 수확 후 1, 4, 7, 10, 20℃의 온도 조건에서 5, 10, 20일간 저장 한 후 절화의 생체중, 화폭, 흡수량 등의 품질과 수명을 조사하였다. 5일 동안의 단기간 저장에서는 4와 7℃에서 저장했을 때, 생체중 과 화폭 등 품질이 우수하였으며, 수명도 다른 처리에 비해 3~5일 간 연장되었다. 10일간 저장에서는 20℃ 저장처리에서 수명이 12 일 감소하였으며, 1~4℃에서 저장한 처리에서 수명과 품질이 가장 양호하였다. 절화 국화의 20일간 장기 저장은 5일과 10일 저장보 다 저장 온도에 상관없이 생체중, 화폭, 흡수량이 크게 감소하였고, 다른 처리보다 1℃ 저장한 처리가 절화수명이 6일이었고, 품질이 양호하였다. 따라서 스탠다드 국화 ‘신마’를 수확한 후 5일이나 10 일간 저장하기 위해서는 4℃가 가장 효과적이며, 20일간 장기 저 장을 위해서는 1℃에서 저장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postharvest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on vase life and quality of cut flower in standard chrysanthemum 'Jinba'. The cut chrysanthemums were treated with various temperature (1, 4, 7, 10, and 20℃) for 5, 10, and 20 days. At short-term storage for 5 days, when cut chrysanthemums were stored at 4 and 7℃, quality of cut flower such as fresh weight and flower diameter was better, and vase life was more increased about 3~5 days than at the other temperatures. At storage for 10 days, the vase life of cut flower stored at 20℃ was decreased about 12 days, but vase life and quality of cut chrysanthemums at 1~4℃ treatment was better than at the others. At long-term storage for 20 days, the fresh weight, flower diameter, and water uptake highly decreased regardless of storage temperature than at storage for 5 or 10 days. The vase life was 6 days and quality were better at 1℃ than 4, 7, 10, and 20℃. Therefore, storing at 4℃ was best for storage for 5 or 10 days, and storing at 1℃ was suitable for 20 days storage in cut chrysanthemum 'Jinba'.

저자
  • 김세림(목포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원예과학과) | Se Rim Kim
  • 노용승(목포대학교 자연자원개발연구소) | Yong Seung Roh
  • 유용권(목포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원예과학과, 목포대학교 자연자원개발연구소) | Yong Kweon Yo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