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주 이진상의 산거사경(山居寫景)에 나타난 장소정체성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Place Identity Expressed on the Poetry of Sangeosag by Hanju Lee Jin-Sa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69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경상북도 성주군에 위치한 한개마을의 장소정체성을 시작품을 통하여 해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이곳 출신인 한주 이진상의 시작품을 선정하여 살펴 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거시경> 시에 나타나는 장소정체성은 전설이 있는 산의 정기(영축산), 가거지로서의 한개마을(대포촌), 조상의 숭모와 자부심(삼봉), 성리학적 깨달음의 구현처(이수), 세속적인 번뇌의 정화공간(산암효경), 성리학과 주역의 수기공간(북창청풍), '심즉리'의 도에 대한 깨침공간(동영제월), 자연으로부터 성리학적 도의 깨침공간(옥후하조), 자연에서 정신적인 '흥'의 깨침공간(계변산보) 등으로 볼 수 있다. 둘째, 한주는 <산거사경>의 시를 통하여 '한개마을'에 대한 자부심과 지역경관에 대한 가치를 시로 표현한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성리학적 궁구의 길, 도를 깨치는 희열과 자연을 통하여 터득한 도의 인식을 노래함으로서 한개마을이 갖는 전통마을로서 또는 동족마을로서의 가치와 위상을 성리학적인 도의 실현이라는 인식공간으로 확장하였다는 발전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셋째, 한개마을 공간분석 결과 영축산에서 시작하여 안산으로 이어지는 공간적 영역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공간체계는 한개마을을 둘러싸는 풍수지리적인 영역을 보여준다. 그러나 보다 중심적인 영역은 한주정사를 중심으로 사유가 전개된다는 점에 있다. 개인의 주택이 우주의 중심이 되며 세계의 중심이 된다는 점에서 볼 때 한주정사의 역할이 그러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한개마을과 그 속의 한주정사는 가거지로서의 생활공간이면서 동시에 한주의 '심즉리' 사상이 꽃피웠던 사유의 실존공간이었다는 점에서 특이한 점이 있다. 이를 통하여 볼 때 전통마을 '한개'는 그 속에 내재된 가거지로서의 우수성과 함께 성리학적 사유의 공간이라는 장소정체성을 중첩해서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재평가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nterpret the the place identity at Hangye village, Gyeongsangbuk-do created by Hanju Lee Jin-Sang's poet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identity of the placeness from the poem "Sangeosagyung (山居寫景)", the following is stated. 'Genius of loci with legend(Youngchuksan)', 'Hangye village as livable habitat (Daepochon, 大浦村)', 'Respect to their ancestor and proudness(Sambong)', 'Realizing place of Sengli theory(Ysu, 二水)', 'Purification place of earthly desires(Sanamhyogyung, 山庵曉磬)', 'Reading and meditation place of Sengli theory and Changes (Bukchangcheongpung, 北窓淸風)', 'Awakening place of Tao of mind and principle(Dongyoungjaewol, 東楹霽月)', 'Awakening place of Sengli Tao from Nature(Okhuhazo, 屋後遐眺)' and 'Awakening place of spiritual pleasure from Nature(Gebyunsabno, 溪邊散步)'. Second, Hanju represented the pride of Hangye village and the value provided to the local landscape in his poems. Additionally, by means of expressing the methods of Sengli's study, the excitement of the awakening moment of Tao, and the recognition of Tao from Nature, he could extend the value and position of Hangye village as a traditional village, or as the village of the same family, to the cognitive position of Sengli’s realization of Tao. Third, the spatial analysis of Hangye village shows that the spatial boundary is covered from Mt. Youngchuk(靈畜山) to Ansan. This spatial system means that the domain of the feng shui surrounds Hangye village. However, the more central area of this system is HanjuJeongsa (寒洲精舍), as the core of the philosophical exten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role of the personal house, HanjuJeongsa, is to become the center of the universe and the world. In conclusion, Hangye village and HanjuJeongsa have a unique place as both a livable habitat and the existential space of the speculative theory of "Simjekli" (心卽理說) created by Hanju. This study informs us of the need to reevaluate the value of the Hangye traditional village in light of this excellence and dualism as both a livable habitat and the embodiment of Sengli's speculation space.

저자
  • 이행렬(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Lee, Hang Lyoul Corresponding author
  • 정영석(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자원학과) | Jeong, Young Se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