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배빗 음악의 전경층과 후경층에 제시된 음렬 기법: Post-Partitions (1966)과 Play It Again, Sam (1989)의 분석을 중심으로 KCI 등재

Babbitt's Structural Design for a Twelve-Tone System: Characteristics between background and foreground as shown in Post-Partitions (1966) and Play It Again, Sam (1989)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705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서양음악학 (Journal of the Musicological Society of Korea)
한국서양음악학회 (The Musicological Society Of Korea)
초록

밀턴 배빗(Milton Babbitt, 1916-2011)은 20세기 음악, 특히 12음 음악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작곡 가로 쇤베르크와 베베른의 음렬 기법을 기초로 그만의 독특한 기법을 창시하여 사용하였다. 그는 무엇 보다 3음군 행렬, 전분할 행렬 등 새로운 12음 체계를 구축하고 행렬의 음악적 자원(resources)들을 이 용해 ‘최대한의 다양성’을 추구하여 음악에서 이들의 다양한 변형과 변화를 시도하였다. 이렇듯 그의 음악의 모든 요소는 행렬로부터 비롯되었기 때문에 결국 행렬의 철저한 제한 내에서 변형을 이룬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그의 음악에서 행렬의 음렬이 드러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행렬의 요소들을 인식 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특히, 1960년 이후 그의 중기 작품들에 주로 사용된 전분할 행렬(all-partition arrays)이나 특수 행렬(superarrays)은 음렬의 원형이나 변형으로 이루어진 몇몇 성부들을 각각의 다른 음역에 동시에 제시하면서 각 라인(lyne)들이 서로 얽히어 나타나기 때문에 행렬과는 무관해 보이는 집 합이나 모티브 집합의 새로운 형태가 제시되곤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배빗의 음렬 음악에서 후경층 (background)의 행렬, 즉 미리 정해진 제한으로부터 어떻게 전경층(foreground)의 새로운 양상이 제시 되고 있는지, 이들의 계층 구조 간에 사용된 다양한 기법들을 고찰해 본다. 또한, 배빗의 작품들 중 Post-partition (1966)과 Play it again, Sam (1989)의 분석을 통해 서로 다른 계층 간에 나타난 다양한 음악적 요소들의 변화, 리듬과 다이내믹의 타임 포인트(time-point) 시스템과 음렬 시스템의 다양한 구 조적 특징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배빗이 의도한 구조적 디자인을 파악해본다.

Milton Babbitt(1916-2011),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igures in the landscape of twentieth-century music, exploits many of the techniques of twelve-tone composition, some of which were inherited from Schoenberg and Webern and some of which he launched himself. It is often asserted that in Babbitt’s twelve-tone music the details on the surface are derived from the series of the array and thus the collections or fragments of the array, namely that some elements chosen from the components of the array should be on the musical surface. The compositions especially after the second period(1961-), those based on the all-partition arrays or superarrays, however, do not seem to present the array components since they are both temporally dispersed and also intertwined with other lines in their registers. The array is realized on the surface either in a wide variety of manners or in a fleeting way and thus the background structure no longer appears valid at this surface level.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hierarchic structure of the array, the background idea, and the details on the surface, or foreground statements. Two analyses of sections from Babbitt's Post-Partitions(1966) and Play it Again, Sam (1989) not only explore various techniques that he pioneered but also demonstrate the wonderful balance found between sets, musical elements and even structural levels which made his compositions distinctive and significant.

저자
  • 박인아 | Ina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