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표본조사를 활용하는 사회과학연구에서 발생하는 오차에 대한 개념적 고찰

Total Survey Error in Survey Research : Suggestions for Quality Survey Research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707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300원
한국사회연구 (Korean Journal of Social Science)
경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INSTITUTE FOR SOCIAL SCIENCE)
초록

사람들의 생각, 태도, 개인적인 신념 등에 관한 조사는 모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하지 않고 주로 모집단의 일부인 표본을 추출하여 조사함으로써 전체 모집단의 특성을 추정한다. 이러한 표본조사방식은 시간·비용적인 면에서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표본을 이용한 동시에 조사는 많 은 오차를 수반한다. 그렇기에 표본조사시 발생하는 오차에 대한 관리가 조사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조사 과정에 잠재되어 있는 모든 오차를 일컬어 종합조사오차 (Total Survey Error)라고 하는데, 종합조사오차를 구성하는 오차들을 유형화 해보면 모집단의 일부만을 조사함으로써 생 기는 표본오차(sampling error), 목표모집단과 표본추출틀 (sampling frame)과의 차이로 인해 나타나는 커버리지오차 (coverage error), 표본추출을 통해 생성된 모든 조사대상자 들과 (단위 무응답자들을 제외한) 응답자들의 체계적인 응답성향의 차이로 나타나는 무응답오차(nonresponse error), 면접원, 응답자, 질문지, 사회소망성(social desirability)현상 등에서 비롯되는 측정오차(measurement error), 그리고 조사 후에 코딩 등의 오류로 인한 처리오차(processing error) 등 크게 다섯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조사연구 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차들의 유형별 제 개념 및 이러한 오차 들이 조사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고 한국의 비표본오차에 대한 조사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Survey research is commonly used when a researcher wants to investigate people's opinions, attitudes, and beliefs in a particular area or society. A sample survey is a very efficient tool in that one can estimate population characteristics with a small number of samples. The sample survey, however, involves many potential errors, known as total survey error (TSE) in the data collection process. TSE includes sampling error which arises when a sample is used instead of the population, coverage error stemming from a mismatch between the target population and sampling frame, nonresponse error which results from systematic differences in responses between total sampled persons and respondents, measurement error due to interviewer, respondent, questionnaire, and social desirability, and processing error stemming from human errors such as coding after data collection. This study will mainly discuss what TSE means and how it negatively affects the survey data quality, and provide some suggestions for quality survey research in Korea.

목차
Ⅰ. 서론
Ⅱ. 종합조사오차(Total Survey Error)의 개념
Ⅲ. 종합조사오차가 조사연구에 미치는 영향
1 표본오차(sampling error)
2 커버리지오차(coverage error)
3. 무응답오차(nonresponse error)
4. 측정오차(measurement error)
5. 처리오차(processing error)
Ⅳ. 결론: 한국에서의 조사연구 과제
1. 인식적 과제
2.학술적 과제
3.제도적 과제
저자
  • 이 건(경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조교수) | Geon Lee